젠슨 황(왼쪽 넷째)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7일(현지시간) 미국 TSMC 애리조나주 피닉스 팹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칩 블랙웰 양산 기념식에 방문했다. [사진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블랙웰의 양산이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있는 TSMC 팹에서 시작됐다. 엔비디아의 최신 AI칩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내 첨단 칩 제조를 강조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가 이어지면서, 한 학자금대출기금 국 기업에 대한 현지 생산 압박 역시 커질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17일(현지 시각) TSMC 애리조나 팹에서 블랙웰의 대량 생산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TSMC 애리조나 팹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가장 중요한 단일 칩(블랙웰)이 미국 내 가장 첨단의 TSMC 팹에서 제조되는 것 미국 직장 은 역사상 처음”이라며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산업 재편 비전의 실현”이라고 말했다. 블랙웰은 이전 세대인 호퍼보다 연산 효율을 크게 높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 학습과 추론에 최적화한 칩이다. TSMC의 4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공정을 사용해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제조업 재건 정책을 중국 브로커 강력하게 추진해왔다. 그중 반도체는 특별히 공들인 분야다. 대만 TSMC는 바이든 정부 때 66억달러(약 9조4000억원)의 보조금을 받고 650억달러를 투자해 애리조나의 팹을 건설해 지난해 말부터 생산에 나섰다. 엔비디아는 미·중 무역갈등에서 곤혹스러운 처지였다. 중국은 안정적인 자국산 AI 칩을 확보하지 못해 여전히 엔비디아 칩에 의 숨김파일및폴더표시 존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엔비디아 칩 판매 금지 카드를 지속적으로 꺼내 들었다. 하지만 이번 블랙웰 생산을 통해 트럼프 정부 정책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게 됐다. TSMC 역시 미국 현지 생산으로 향후 부과 예정인 반도체 품목 관세를 피할 수 있게 됐다. TSMC는 애리조나 제2 공장 건설도 나선 상태다. 농협 국민행복기금한국 반도체 업계의 속내는 복잡하다. 동아시아가 가진 첨단 칩 제조 역량이 미국으로 옮겨가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들이 향후 빅테크 고객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국 내 생산’이라는 조건을 수용해야 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반도체 제조 공장 건설을 마무리하는 단계이며,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파예트에 첨단 패키징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첨단 공정을 자국에 두는 건 기술력 유출을 막기 위함”이라며 “한국보다 앞선 기술을 미국에서 생산하게 되면 기술력이 빠져나가지 않기 위한 노력이 각별히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