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운영중인 산후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은 전체의 4.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뉴스
전국 산후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은 전체의 4.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대구, 인천 등 공공산후조리원이 없는 지역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산후조리 지원정책에서 국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남원장수임실순창)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 466개소 중 민간산 조건마남 후조리원이 445개소(95.5%)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공공산후조리원은 단 21개소(4.5%)에 불과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이 지자체 사무에 맡겨져 있는 만큼 같은 지방이더라도, 상황은 제각각이었다. 강원, 전남의 경우 5곳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있지만,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충북, 전북의 경우는 공공산후조리원이 부재했다. 애엄마 시 민간산후조리원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50개소(32.2%)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16개소(24.9%)로 단 두 곳에 전체 산후조리원의 57.1%가 집중돼 있었다. 반면, 세종은 6개소(1.3%), 광주, 울산, 제주 각각 7개소(1.5%), 충북은 8개소(1.7%)에 불과해 지역별 편차가 컸다. 기초지자체 기 직장인저신용자대출 준으로 분석하면 올해 8월 말 기준, 229곳 중 99곳(43.2%)은 산후조리원 자체가 전무하다. 박희승 의원은 "산후조리 지원정책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강화하고,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우선적 지원을 시작으로 산후조리 지원정책 전반에 대한 공공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후조리원 이용 가격은 2020년 대 애드온시스템 비 2024년 가격 상승률이 29.5%에 달했으며, 작년 기준 서울의 평균 이용 가격은 477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남은 178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이와 관련해 박희승 의원은 앞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운영 및 취약계층 등에 대한 이용요금감면에 소요되는 경비를 국가가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우리카드 전화번호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