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정부의 제재를 당한 한국 기업이 처음으로 나왔다. 14일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내 다섯 개 계열사(한화쉬핑,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USA홀딩스)에 대해 ‘모든 형태의 거래·교류 금지’ 제재를 공식 발표하면서다. 이들 계열사는성우하이텍 주식 중국과 직접적인 교류관계가 없어 당장의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재로 인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한화오션을 타깃으로 일종의 경고장을 날렸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중국이 ‘한국기업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계속해서 협조한다면 조치를 취하겠다’는 신호를 보낸만큼 추가적인 제재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주식테마주 . 당장 제재조치의 범위를 한화오션 본사로 확대하면 실질적인 타격이 올 수 밖에 없다. 한화오션 역시 중국 해운사 등으로부터 수주를 받고 있지는 않지만, 중국의 소재 벨류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저렴한 중국 철강(후판) 및 각종 소재를 사용하지 못하게되면 원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여기에 중국에 선박용 블록 공장도 다수 보유하재테크방법 고 있다. 여기에 중국 항구에 입항하는 일부 한국 선박에 대한 수수료 조치와 같은 극단적인 제재까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상하이·칭다오·닝보 등 중국 주요 항만은 세계 해운의 중심지라 선박 입항에 차질이 생길 경우 글로벌 해운사로부터의 수주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D현대중공업 역시 긴장하고 있다. 인터넷주식수수료 미국 정부의 조사 활동에 협조하는 건 아니지만 미국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CO)와 컨테이너선 공동 건조 협약을 체결하고, 헌팅턴 잉걸스 등 미국 방산업체와 해양·함정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등 미국과의 교류를 늘리고 있다. ◇반도체, 배터리, 철강 등도 긴장 산업계의 우려가 큰 건 한국 입장에서 대응 카드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중국이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조치를 시행한건 우리의 문제라기 보다는 미국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에 대한 제재정책이 나올때마다 반격과 재반격을 거듭하며 판을 키우고 있고,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 한국은 정책적으로 이를 무마할 방법이 거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이 이번에 제재조치의 이유로 내세운 ‘조사 협조’와 관련해서도 뚜렷한 혐의점 없이 미국에 협조했다고 몰아세울 수 있다는 게 기업들의 불만이다. 관세협상 과정에서 ‘을’의 위치인 한국 기업으로서는 미국 정부의 각종 요청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산업계는 중국이 이번 조치를 신호탄 삼아 미국과 협력 중인 다른 산업 분야로 제재를 확대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반도체, 배터리, 철강, 기계부품 등은 현지투자를 진행하는 등 미국과 관계가 깊으면서도 중국과 거래 규모도 큰 만큼 제재 범위가 확대되면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해진다. 성상훈/김우섭/안시욱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