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고사장 언뜻 보기에 링어스키디는 아일랜드 남부 해안의 여느 조용한 마을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이곳에는 특별한 명성이 있다. 바로 이곳은 아일랜드에 고수익을 가져다 주는 제약 산업의 출발점이 된 거대한 화이자(Pfizer) 캠퍼스가 자리한 곳이다.
미국 다국적 제약회사인 화이자는 1969년 확인서 , 코크 항만 끝자락의 작은 어촌이던 링어스키디에 첫 아일랜드 공장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이후 수십 년간 이곳을 포함해 전국 4곳에 총 100억 달러를 투자했다. 화이자의 선례를 따라 경쟁사들도 속속 코크 카운티로 몰려들었고, 이로써 코크뿐 아니라 아일랜드 전역이 미국 제약회사들의 주요 거점으로 변모했다. 비슷한 이야기는 테크 산업에서도 반복됐다.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미국 기업들이 유럽 본부나 대규모 사업장을 아일랜드에 세운 것이다. 미국 다국적 기업들의 이러한 투자는 아일랜드의 두 가지 대표 산업--제약과 테크--을 성장시켰고, 수천 개의 일자리와 막대한 법인세 수입, 그리고 최근 몇 년간 숨이 멎을 만큼 큰 재정 흑자를 안겨주었다. 그 결과, 한때 유럽에서 가장 가난했던 나라 중 하나이자 15년 전 대규모 경제 위기를 겪었던 아일랜드는 이제 눈에 띄게 부유한 국가로 탈바꿈했다. 독립적인 정부재정 감시기구인 아일랜드재정자문위원회(IFAC)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경제성장률은 최근 4년 연속으로 EU 평균을 상회했다. 여기에 유럽사법재판소가 이젠 실효한 '특혜 세제'와 관련해 애플에 140억 유로의 미납 세금 납부를 명령하면서 지난해 막대한 자금이 추가로 유입됐다. 하지만, 아일랜드의 이러한 번영의 원천이 지금 위협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체결된 통상 합의에 따라, 유럽연합(EU)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1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아일랜드로 향하던 미국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던 의약품이 처음으로 포함됐다. (계속)
━ PADO 웹사이트(https://www.pado.kr)에서 해당 기사의 전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국제시사·문예 매거진 PADO는 통찰과 깊이가 담긴 롱리드(long read) 스토리와 문예 작품으로 우리 사회의 창조적 기풍을 자극하고, 급변하는 세상의 조망을 돕는 작은 선물이 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