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과제 채택을 앞두고 이재명 정부에 '광주·전남 미래 먹사니즘 이것만은'을 주제로 6차례에 걸쳐 국정과제에 반영해야 할 지역 핵심 의제를 제안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4달이 지난 지금, 지역 핵심 의제들이 실제 국정과제에 반영되고 어느 정도 진척됐는지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구호에 그치지 않고 지역 발전의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독자와 함께 살펴보자는 취지다. 편집자주. 이재명 대통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 공약을 내걸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을 고도화하고,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더해 3대 국립문화시설 유치·공공기관 1억 5천 대출이자 이전, 국립 망월동 5·18민주공원 조성사업 추진을 약속했다. 이 중에서 핵심은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이었다. 광주의 AI 기술산업과 관련 콘텐츠기업이 집적화해 미래형 문화콘텐츠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구상이다. 그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를 중심으로 한 앵커시설 구축에만 머물렀다는 점에서 본격적으로 산업화에 할부상환 나서겠다는 취지다. 이 공약은 'K-문화콘텐츠 허브 조성'이란 이름으로 국정과제에 추진과제로 담겼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내년 착공을 목표로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을 추진하고 있다. 2035년까지 총 10년간 남구 송암산단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 일대를 검토 중이다. 총사업비는 6천587억원으로 국비 3천151억원, 시비 836억원, 민주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2천600억원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속도를 내려는 광주시와 달리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해당 사업이 반영되지 않아 우려가 나온다. 광주시는 내년도 정부 예산에 2억원 규모의 타당성 조사 용역비를 반영해달라는 입장이다. 본예산이 국회로 넘어간 만큼 광주시는 국회를 상대로 사업비 반영에 노력 중이다. 지난달 18일 진행된 민주당-광주시 예산정책 아주저축은행 햇살론 협의회에서도 현안을 건의했다. 사업비 축소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 정부의 재정 기조가 효율성에 맞추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광주시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회계로 집행되는 만큼 국회에서 충분히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정부에서는 해당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용회복 현 정부가 광주에 AI 산업들을 집중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데다 아시아문화전당, 광주실감콘텐츠큐브 등 콘텐츠 기관도 다수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는 한국콘텐츠진흥원도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K-컬쳐 미래 전략 산업 거점으로 국가균형발전에도 이바지하고, 지역 경제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국회를 찾아 내년 본예산에 타당성 조사 요역비 2억원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과 관련해 왜 광주에 허브 시설이 들어와야 하는지 필요성을 공유하고,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한다"고도 밝혔다. 그러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전담하는, 이른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청' 설립은 국정과제에서 제외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광주시와 지역사회에서는 정치적 이해 득실에 따라 흔들리기를 반복하는 걸 멈추기 위해서는 전담 국가기관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6월17일자 1면 참고)한 바 있다. 김요수 광주연합기술지주 대표는 "현 정부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고도화하고, 이어가려는 의지는 분명한 것 같다"며 "이런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소재와 예산, 즉 사업을 실행해 낼 수 있는 기획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정부의 의지만 있다고 해서 될 게 아니라, 광주시가 꼼꼼한 기획안으로 정부를 설득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대표는 "이재명 정부 또한 노무현 대통령 때 구상해 추진한 '문화 수도' 비전에 이제는 마침표를 찍어줘야 한다는 각오로 예산을 확실하게 챙겨줘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