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건의 허위 비방 유튜브 영상 및 채널 구글 측에 신고" 동아일보 "김현지 국정감사 나오고, 與野 '오버' 말라"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연합뉴스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증인 출석을 놓고 여야 충돌이 격화되는 가운데 여당이 김 실장 관련 보도 및 허위정보에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는 지난 17일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대상으로 한 근거 없는 허위·비방성 콘텐츠가 유튜브를 중심으로 지속 확산되고 있다. 문제의 비디오대여점 다수 영상은 확인되지 않은 '지라시' 수준의 내용을 사실처럼 포장하며, 특정 정치세력을 공격하는 도구로 악용되고 있다”며 “추석 연휴 기간을 포함해 민주파출소에 접수된 제보와 자체 모니터링 결과, 총 132건의 영상 및 채널을 구글 측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 주간 온라인 부문 제보 건수는 총 289건(커뮤니티 65건, SNS 224건)으로 회사원 서대리 이 중 '김현지 제1부속실장'에 대한 가짜뉴스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소통위는 또 “한 주간 시사 프로그램 및 뉴스를 모니터링한 결과, 방송심의규정 위반 사례 26건을 확인했다. 방송에서도 김현지 제1부속실장과 관련하여 아직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근거로 부정적인 내용을 반복적으로 보도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순실현가능액 “공정성과 균형성이 훼손된 사례가 확인되어 방심위에 심의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소통위는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향한 악의적 허위조작 보도와 온라인상의 인격 모독성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특히 한미일보의 두 건의 기사에서는 사실관계 확인 없이 개인의 사생활을 왜곡하고 공적 인물을 음해하는 표현을 반복했다”며 “한미일보 산업은행 시험 기사 작성자 2명을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동일한 허위 내용을 퍼뜨린 유튜브 채널 고성국TV, 배승희 변호사, 성창경TV 등 3개의 채널에 대해서도 같은 혐의로 고발 절차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소통위는 “지금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향한 허무맹랑한 허위사실들이 언론과 방송, 온라인 전반에 무차별적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봉 퍼지고 있다. 그 내용은 사실 여부를 떠나, '불륜'과 '외도' 등 사람의 인격을 무너뜨리는 폭력적 언어로 점철돼 있다”면서 “허위 조작 정보와의 싸움은 결코 한 사람을 위한 싸움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동아일보는 17일 사설 <김현지 국감 나오고, 與野 '오버' 말라>에서 “민주당은 명분 없는 일방적 감싸기를 중단하고 김 실장이 국감에 나와 답변을 하도록 해야 한다. 국민의힘도 합당한 근거를 찾기 어려운 의혹과 관련된 상임위 출석 요구는 당장 철회하는 것이 소모적 논란을 끝내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애초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을 문제로 키운 것은 여권이다. 민주당은 운영위 국감 증인 명단에서 당시 총무비서관이었던 김 실장을 뺐다. 직후 대통령실이 김 실장을 국감에 참석하지 않는 제1부속실장으로 발령 내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됐다. 김 실장이 총무비서관으로 있을 때 대통령실 내부 인사를 놓고 논란과 잡음이 적지 않았다. 당시 대통령실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국회의 질의에 답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을 둘러싼 각종 의혹 제기를 여권이 자초했다는 의미다. 동아일보는 “6개 상임위에 출석해야 한다는 국민의힘의 요구도 지나치다. 경기동부연합 연루 의혹만 해도 김미희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남편 백승우 씨가 경기동부 핵심 인사라는 주장, 김 전 의원이 김 실장과 아는 사이라는 15년 전 판결문 한 문장 외에 국민의힘이 내놓은 근거는 없다”며 “1급 공무원인 그에게 과거 행적 등을 이유로 17개 상임위 중 3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상임위에 나오라는 건 도를 넘는 정치 공세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민의힘은 당 차원에서 '김현지 제보센터'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