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정책 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끼인세대 (35세 이상~55세 미만)를 대상으로 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4년간 918억원을 투입해 다방면에서 정책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회를 지탱하는 끼인세대…정책에서는 소외
끼인세대는 청년층과 노년층 사이에 위치한 연령대를 통칭하는 개념이지만, 정확한 구분 기준은 없다. 지난 2023년 전국 최초로 제정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조례'에서는 부산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35세 이상 55세 미만의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부 한양대 대학원 산의 끼인세대 인구수는 91만890명으로 부산 총인구의 28%를 차지한다. 이들은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경제 및 심리적 부담에 따른 어려움을 안고 있다. 끼인세대는 그동안 청년층이나 장노년층에 비해 정책의 지원에서 소외되어 왔다. 실제 관련 조례가 제정된 지난 2023년 기준 시에서 추진한 청년층(19~35세)과 노 저신용자채무통합 인층(60세 이상) 지원 사업은 각각 121건과 53건인데 반해 중장년층(35세~59세) 지원 사업은 10건에 불과했다. 부산시, 끼인세대 대상으로 6대 분야 32개 지원사업 추진
이에 시는 '제1차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끼인세대 지원 조례에 전문직대출 따라 4년 마다 수립하는 종합계획이다.
종합계획은 '끼인세대에서, 키(Key) 세대로'를 슬로건으로 하는 이 계획은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감을 해소해 사회통합과 경제 활력을 도모한다는 목표다. 계획은 △일자리 △역량개발·교육 △주거안정·금융 △문화·여가 △출산·양육 △노후준비·건강 등 6대 분야 32개 주공 사업으로 구성됐다.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4년 간 모두 918억원이다. 주요 지원정책으로는 일자리정책의 일환으로 4050 채용 촉진지원사업을 확대한다. 지역 내 중소·중견기업에서 중년층(40세~59세) 구직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1명당 최대 480만원을 지원한다. 또, 부산에 사는 40세~54세 미취업 여성을 대상(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중위소득 150% 이하)이 구직활동에 나설 경우 직업훈련과 자격증 취득, 교재구입비 등으로 3개월간 모두 9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2023년 5월 김태효 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 현상을 짚고있다. 부산시의회 제공
이직과 전직 등 인생 2막을 준비하는 40~55세 중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 수료자에게는 국가자격 시험 응시료를 최대 20만원 한도에서 대신 내준다. 또, 끼인세대를 대상으로 직업상담사를 비롯한 전문가를 통해 역량강화 교육과 일자리 지원 상담 등을 지원하는 방안도 계획에 담겼다. 폐업한 소상공인 중 신규 취업한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납입액의 100%(최대 180원)를 매칭 시켜 지원하는 폐업소상공인 희망두배통장 지원사업이 신설됐다. 끼인세대가 자녀와 함께 문화·여가시설을 이용할 때 별도의 이용권 구매 절차를 마련하는 부산형 어린이 패스트트랙도 마련됐다. 사직야구장에서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는 영유아인 자녀와 함께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가족이 함께하는 공연 관람'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내년부터 40대 임신·출산 증가에 따른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지원을 위해 맞춤형 패키지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끼인세대의 노후 준비와 건강을 위해 저축과 금융투자, 절세, 부동산 등을 포괄하는 자산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했다. 조례를 발의한 부산시의회 김태효 의원은 "청년층, 노년층을 지원하는 정책 사업은 활발히 발굴·운영되고 있는 반면 사회를 지탱하는 끼인세대는 정책에서 소외되어 왔다"며 "끼인세대를 정책 수혜 대상으로 바라보고 조합계획을 설계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이번에 마련한 종합계획과 지속적인 신규상버 발굴을 통해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를 해소하고, 사회 통합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기반을 져 나가겠다"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jebo@cbs.co.kr 카카오톡 :@노컷뉴스 사이트 :https://url.kr/b71af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