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 2일 서울 종로구에서 노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5.1.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고령화의 여파로 기초연금 예산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기초연금 등 의무지출 조정에는 다소 신중한 모습이다. 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기초연금 예산을 올해 본예산보다 7.1%(1조5481억원) 증액한 23조3627억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의 70%에게 지급한다. 정부가 추산하는 내년 기초연금 수급자는 별내 아이파크 2차 778만7500명이다. 내년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은 34만9360원이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매년 늘어날 수밖에 없다. 노인인구의 70%에 지급하도록 설계해 노인인구가 늘어나면 수급자와 지급액도 증가하는 구조다.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기준 노인인구는 1051만400 주택담보대출시 필요서류 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한다. 노인인구는 △2030년 1298만명 △2035년 1502만8000명 △2040년 1715만1000명 등으로 증가한다. 현재 제도대로라면 기초연금 수급자도 이에 맞춰 늘어난다. 정부 예산안을 보면, 기초연금 예산은 △2027년 25조398억원 △2028년 27조920억원 △20 간 29년 28조2228억원 등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 내부적으로도 노인인구의 70%에 지급하는 기초연금 제도에 문제의식은 있다. 고령화 속도를 감안할 때 현재 제도를 유지할 경우 재정이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노인인구 비율은 2030년 25.3%, 2035년 29.9%, 2040년 34.3% 등으로 증가 원금균등상환만기일시상환 할 전망이다. 세금 낼 사람이 줄어드는데, 기초연금 등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 재정 소요는 급증한다. 하지만 기존 수급자 등의 반발 등을 우려해 기초연금의 제도 개선방안은 제대로 논의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초 보고서에서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방식을 노인의 70%로 설정하는 방식에서 벗 개콘 직장인 어나 전체 가구 중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노인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대안으로 제시한 것은 기준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이다.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이다. 세종=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세종=최민경 기자 eyes00@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