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사람들도 웬치(범죄단지)가 들어선 카지노 호텔에서 청소부, 가게 점원으로 일하니까요. 결국 그들 때문에 먹고 사는 것은 사실이에요.” 캄보디아 남서쪽 끝자락에 있는 항구도시 시아누크빌에서 택시 운전을 하는 캄보디아인 펭 파닛(28)이 복잡한 표정으로 말했다. 대개 중국 자본으로 지어진 화려한 호텔 어느 방에서 중국, 대만, 일본, 그리고 한국 조직원이 각종 피싱과 불법도박 범죄를 벌이고 있으리라는 사실을 안다. 조직원 가운데 일부는 감금 상태라는 것도, 흉흉한 고문 소식도 자주 들었다. 다만 이런 도시의 일부가 되어버린 펭 파닛은 손쉽게 중고차담보대출 도시를 탓할 수 없다. 한겨레가 15~16일 찾은 시아누크빌은 ‘불야성’이라는 단어를 풍경으로 재현한 곳이었다. 도시 진입로부터 중국어 간판이 하나둘 눈에 띄다가, 중심부로 갈수록 휘황찬란한 중국어 간판이 달린 대형 카지노와 고층 호텔, 쇼핑몰, 식당이 즐비했다. 화려함 이면에는 범죄가 있다. 17년째 이 도시에 사는 오창수(58) 선교 서브프라임모기지찬반 사가 한숨을 쉬었다. “캄보디아에서 노을이 가장 아름다운 해안 도시로 꼽히던 곳이 어쩌다 ‘범죄 도시’라는 오명을 쓴 건지, 안타깝기만 합니다.” 시아누크빌 한인회장을 겸하는 오 선교사에게는 이틀 동안 한국인들의 ‘구조 요청’ 두 건이 전해졌다. 올해 들어서만 50여명을 구출했다. 외교부는 15일 0시를 기준으로 시아누크빌 주를 여행 제한 3단계(출국권고) 중소기업대출금리 지역으로 지정했다.
16일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경찰청에는 범죄단지에서 탈출한 한국인 2명이 구금돼있다. 정인선 기자
시아누크빌이 고즈넉하고 조용한 해안 마을에서 카지노 도시로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범죄 도시의 생태 직장인입니다 계도 자리 잡았다. 불과 10여년 사이 벌어진 일이다. 우선 중국의 자본이다. ‘일대일로’ 사업 목적으로 캄보디아에 유입된 중국 자본이 현지인들로부터 땅을 시세의 2~3배 가격에 사들였다. 캄보디아인은 외곽으로 밀려나고, 도심에는 카지노 시설을 갖춘 중국계 대형 호텔이 우후죽순 들어섰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며 관광업에 타격을 입었다. 시아누크빌 곳곳에 고금리 예금 는 당시 자금 문제로 짓다 만 호텔들도 골조를 드러내며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미 지어진 카지노 시설은 세계로 송출되는 불법 도박 중계 현장이 됐다. 호텔의 빈방은 각종 보이스피싱, 로맨스스캠 조직의 콜센터, 인터넷 작업 공간이 됐다. 마침 보이스피싱 조직들은 중국, 필리핀 등의 단속 강화로 새로운 범죄 공간을 찾고 있었다.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곳곳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업 타격으로 짓다 만 호텔 건물이 서있다. 정인선 기자
범죄 현장이 된 호텔 방들로 찾아오거나 감금된 하부 조직원은 국제적이다. 그들 중 한국인이 있다. 오 선교사는 “초기만 해도 시아누크빌 범죄단지를 중국인, 대만인, 일본인 등이 메웠는데, 3∼4년 전부터는 일명 ‘취업 사기’에 속아 들어온 한국인 수가 부쩍 늘었다”고 했다. 시아누크빌 지방경찰청에서 만난 현지 경찰관은 “온라인 카지노 관련 범죄 혐의를 받는 한국인 남성 2명이 구금돼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범죄 조직에 갇혀 지내다 최근 가까스로 구출된 뒤 현지 경찰 조사를 받는 중이다. 정작 캄보디아 현지인들은 이들 범죄와는 직접적인 연계가 적다. 범죄조직을 차릴만한 중국인 같은 자본이 없고, 조직이 피싱 범죄 표적으로 삼는 국가의 언어도 할 수 없다. 다만 범죄 수익으로 이뤄진 도시의 변화에 간접적인 수혜를 누린다. 펭 파닛은 주로 중국인 카지노 관광객을 택시로 이동시키며 돈을 번다. 시아누크빌 중심가에서 과일 노점을 하는 젊은 부부는 “시아누크빌에서 장사하면 돈을 빨리 모을 수 있다고 들어서 주변 소도시에서 이주해 온 지 3년째”라고 했다.
15일 밤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중심가에 카지노 호텔과 중국어 간판이 즐비하다. 정인선 기자
한국의 외교부 2차관과 국가수사본부장 등이 15일 밤 캄보디아를 찾아온 소식은 시아누크빌에도 전해졌다. 개인적으로 감금된 한국인 조직원을 구조해 온 오 선교사에게는 당국의 개입이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런데도 표정은 어두웠다. 당장 구조를 시도하고 있는 한국인 두 명의 상황 탓이다. “한명은 연락이 끊겼습니다. 연락을 유지하고 있는 또 다른 한 명 얘기로는 웬치 경비 인원수가 갑자기 늘며 감시가 강화됐다고 해요. 범죄 조직들이 몸을 사릴수록 연루된 이들을 빼내는 것 또한 어려워질까 봐, 그게 걱정입니다.” 생태계를 이룬 범죄도시의 일망타진은 아직 쉽지 않은 이야기로 보였다. 시아누크빌/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