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영산강 유역의 장례문화를 통해 마한인의 삶과 죽음을 조명한 전시가 마련됐다. 국립나주박물관은 내년 3월15일까지 2025년 기획특별전 ‘흙으로 만든 널, 고요한 위엄: 고대 영산강 유역 사람의 마음을 담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나주 반남고분군과 영암 옥야리고분·쌍황금성갈갈이 무덤 등에서 출토된 청동거울, 중국청자 등 최신 발굴 자료를 비롯해 독널 관련 유물 26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고대 마한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알려진 ‘독널무덤’의 조성 방식과 ‘추가장’ 풍습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독널무덤은 한 봉분 안에 여러 개의 독널을 함께 묻는 ‘다장(多葬)’ 형태로, 흙으로 봉분을 먼저 증권사별수수료 쌓은 뒤 그 위에 독널을 묻는 ‘선분구 후매장’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친족이 사망하면 같은 봉분 안에 새 독널을 추가로 묻는 ‘추가장’이 이뤄졌다. 한 무덤에 열 기 이상 독널이 더해지는 이러한 풍습은 영산강 유역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장례 문화로 평가된다. 무덤 정상에는 의례용 토기인 ‘원통모양 토기(墳周土器, 분주토기)’를 세워 증시캘린더 무덤을 장식했으며, 이는 추가장이 이뤄질 때마다 다시 세워져 한 봉분에 여러 차례 세워졌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동안 독널무덤의 구조와 조성 방식은 자료 부족으로 명확히 알기 어려웠으나, 최근 나주 덕산리 3호 무덤 재조사 등 고고학 성과를 통해 구체적인 실체가 밝혀지고 있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먼저 1부 ‘독널제일제강 주식 로 하나된 사회’에서는 마한의 무덤 양식 가운데 하나였던 독널무덤이 영산강 유역의 대표적 장례 형태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2부 ‘독자적인 독널무덤 조성’에서는 대형 독널 제작과 무덤 조성 방식, 친족 중심 사회를 반영한 추가장 문화 등 지역적 특색을 조명한다. 3부 ‘공유된 독널 매장 풍습’에서는 독널 안팎의 껴묻거리, 주칠 흔적, 구멍이 뚫린 독널 등 다양한 장례 풍습을 통해 고대인의 내세관과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시 연계 체험 프로그램 ‘독널무덤을 만든 영산강 사람’과 ‘큐레이터와의 대화’도 운영해 관람객이 보다 깊이 있게 전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김상태 국립나주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영산강 유역의 독널무덤이 백제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마한 전통을 이어가며 점차 대형화되고 체계화된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며 “고대 마한과 영산강 유역의 독널무덤을 통해 한국 고대사의 중요한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명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