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의 가상자산 시장은 반등에 성공한 모습을 보였다. 2일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4.7% 오른 11만8564달러, 이더리움은 5.5% 상승한 4347달러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장 역시 동반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캐시(ZFC, +101.76%), MYX 파이낸스(MYX, +83.84%), 펌프닷펀(PUMP, +24.23%) 등이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주의 주요 이슈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민간 고용 지표였다. 지난 1일(현지 시각) 예산안을 둘러싼 여야 갈등으로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했으나, 시장은 과거 사례처럼 조기 진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회복력에 무게를 재무계산기고장 두는 분위기였다. 동시에 미국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에서 발표한 9월 민간 고용 통계가 전월 대비 3만2000명가량 감소해 예상치를 크게 밑돌자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연내 두 차례 금리 인하 기대가 강하게 형성됐다. 이에 나스닥, S&P, 비트코인 등 위험 자산 투자 심리가 살아났다. 김준성 직업군인 하는일 쟁글 연구원은 “셧다운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고용 지표 부진이 금리 인하 기대를 뒷받침하면서 가상자산은 강세를 보였다”며 “그러나 FOMC 전까지 추가적인 고용 지표 발표가 남아 있기 때문에, 지표 결과에 따라 달라질 정책 신호를 신중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수이, ‘한국 맞춤 스테이블코인’ 발표 예고 최근 차세대 블록체인 수이(Sui)가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운영사 미스틴랩스 공동 창업자 아데이니 아비오둔과 수이 재단 이사 크리스천 톰슨은 인터뷰에서 “한국은 수이의 최우선 시장 중 하나” 신탁등기 라며 오는 22일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에서 한국 공략용 스테이블코인 사업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수이는 ‘풀스택(Full-stack)’ 전략을 통해 거래 처리, 합의, 데이터 저장, 네트워킹 기능을 통합한 구조로 설계돼 확장성과 속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미스틴랩스는 최근 블록체인 인프라 미스티세티(Mystic 퇴직금 중간정산 eti) V2, 데이터 저장 설루션 월러스(Walrus), 네트워킹 인프라 씨온(SCION) 등을 선보였다. 글로벌 테크 기업 알키미(Alkimi), 중국 앤트 디지털과 파트너십을 맺어 실물 자산 토큰화(RWA)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특히 수이는 한국의 활발한 가상자산 이용자 기반과 게임·결제·디파이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 웹3 게임 프로젝트 쏘사이어티(Xociety)와 협력했고, 지난해 한국 방문 당시 콘솔 기기 수이플레이(SuiPlay)0X1을 공개한 바 있다. 톰슨 이사는 “수이는 이미 10억달러 이상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 기관과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해 한국을 블록체인 허브로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 중국 중앙은행, 디지털 위안화 국제운영센터 설립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은 국경 간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상하이에 국제운영센터를 설립하고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달러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위안화의 국제적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적 행보로 분석된다. 인민은행 디지털화폐연구소에서 기획·관리하는 이 센터는 디지털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해 국경 간 지불 플랫폼,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디지털 자산 플랫폼 기능을 관련 기관에 홍보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루레이 인민은행 부행장은 “현재 디지털 위안화를 위한 국경 간 금융 인프라 시스템은 이미 초기 구축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센터 설립은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가 지난 6월 포럼에서 관련 계획을 발표한 지 3개월 만에 이뤄졌다. SCMP는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의 국경 간 결제와 해외 사용을 장려해 글로벌 금융 구조를 재편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디지털 위안과 함께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개발도 모색 중이다. ☞크로스앵글(CrossAngle)은 Web3를 채택하는 회사 및 재단 대상으로 온체인 데이터 기반 필수 운영 설루션 및 신뢰 기반 커뮤니티 구축 서비스를 제공한다. 크립토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쟁글을 운영 중이며 쟁글 리서치팀은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투자 산업의 트렌드를 보여주기 위해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