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드론기업 A사는 감시·정찰용 드론과 물류 배송 드론 등을 제작한다. 군용 소형 무인기도 출시한 바 있는 주요 업체다. 하지만 ‘부품 자립’은 머나먼 얘기다. A사 관계자는 “부품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해 국내 공장에서 조립만 해 판매한다”며 “부품을 자체 생산하려 해봤지만,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에 상대가 안 된다”고 토로했다.
10일 매일경제가 국내 드론 공급망을 분석한 결과 완제품부터 부품에 이르기까지 중국산 의존도가 절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무역협회 및 업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준으로 원격조종 비행만 가능한 드론(최 부동산실매물 대 이륙 중량 250g 초과 7㎏ 이하)의 경우 중국산 규모가 839만6000달러에 달했다. 전체의 96%를 차지한 것이다. 반면 대중(對中) 드론 수출은 40만5000달러로, 드론 수출의 5.5%에 그쳤다. 부품은 더욱 심각하다. 국토교통부의 2024년 드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와 업계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2023년 드론 부품 수입액은 신협 공인인증서 6268만달러였는데 이 중 중국이 5077만달러로 81.1%를 차지했다. 압도적 1위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이란 전쟁 등에서 드론이 핵심 무기로 부상하며 세계 각국이 드론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지만, 한국은 중국의 드론산업 앞에서 전혀 힘을 쓰지 못하는 모양새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미국 소비재 드론시장에서 양도소득세 계산 2020년 기준 중국 DJI 1개 기업이 77%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항공안전기술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업체는 총 6835개이고 매출 규모는 모두 1조993억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현재 국내 드론산업 규모는 미미하지만 공공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나라장터에 따르면 드론기업 낙찰 건수는 2014년에 한 건도 없었지만 2 보증금 계산 020년 370건, 지난해 426건으로 폭증했다. 올해는 7월까지 무려 381건의 낙찰이 이뤄졌다. 수요가 급증함에도 중국 의존도가 큰 것은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산 부품을 써보려 해도 가격이 두 배 이상 비싸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토로했다. 더군다나 공공 조달에서 저가 수주가 뱅크론 판을 치다보니 이 역시 중국 부품이 난립할 수밖에 없는 배경으로 꼽힌다. 현재는 기술력보다 가장 낮은 가격을 써낸 곳이 조달기업으로 선정되는 ‘최저가 입찰’ 방식으로 낙찰이 되는데, 국내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경쟁에 뛰어들고, 이는 성능을 떨어뜨리는 값싼 부품 사용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국내에서 조립한 후 판매하는 ‘택갈이’ 업체가 넘쳐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아는 드론기업들은 다 택갈이를 한다고 보면 된다”며 “군용·공공용 납품 드론업체들의 하드웨어는 죄다 중국산”이라고 귀띔했다.
산업계 일각에서는 중국이 드론 수출에 규제를 가하면 국내에서 ‘드론판 요소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요소수 사태는 2021년 중국 정부의 산업용 요소 수출 규제에 따라 국내 요소수 공급이 불안정해지며 발생한 품귀 현상이다. 당시 한국은 요소수의 97%를 중국에 의존하던 상황으로, 요소수를 사용하는 화물차 등이 멈춰설 수 있는 물류 대란 사태 직전까지 갔었다.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은 “드론은 농업, 재난 대응, 국방 등에서도 사용된다”며 “중국이 드론 부품 수출을 막는다면 농업이 마비돼 식량 안보에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이 어려워지고 국방에도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드론의 경우 중국이 언제든 수출 통제에 들어갈 수 있다보니 문제가 더 심각하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 1일부터 민간용 드론의 핵심 부품뿐 아니라 군사적 전용 가능성이 있는 모든 품목을 포괄하는 수출 통제를 단행했다. 지난해에는 미국 드론업체 스카이다이오에 배터리 등 부품 수출 제한 통제를 가해 미국은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드론 공급 차질을 빚은 바 있다. 이런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자 국내 정부는 드론 부품 국산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2차 드론산업 발전기본계획은 2023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년 단위 중장기 국가 로드맵으로 도심 드론 배송 상용화, 미래 인프라스트럭처 조성, 신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 범국가적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박석종 한국드론산업협회 회장은 “드론 기체와 핵심 부품 국산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드론 실증사업 확대, 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 정책이 필요하다”며 “민관이 드론산업 자립화를 위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