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국정 고삐를 다시 바짝 조이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및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감금, 국정감사 등 민생 현안들에 대해 선명한 메시지를 내며 국정 동력을 다시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국정자원·캄보디아·국감 현안 직접 챙기는 李대통령…국정 고삐 쥐기 1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5회 국무회의에서 국정자원 화재 이후 각 부처가 보고를 대출계산법 소홀히 한 점을 지적했다. 그는 "국감 준비 때문에 못 했다면 못 했다는 이유라도 미리 얘기했어야 한다"며 "다음 주 중이라도 초보적으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원인을 보니 어처구니없는 사고였다"며 "국정의 뇌와 같은 정보망이 멈추면 국가 손발이 따로 노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각 부처에 "자신이 맡은 분야 부모님신용불량 에도 이런 위험이 없는지 점검하라"며 "다음 주 스크린할 테니, 없으면 없다고 하되 나중에 사고 나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단순한 지시를 넘어, 전산·정보 인프라를 국가안보 수준으로 관리하라는 메시지로 읽힌다. 대통령실 안팎에서는 이번 행보를 두고 '단순한 질책이 아닌, 국정 리듬을 다시 대통령실 중심으로 되돌리려는 복귀 신호 카톡 '로 보고 있다. 또 최근 일각에서 국정자원 화재와 관세 협상 미해결 등으로 인해 '내치'가 흔들린다는 비판을 바로잡기 위한 '강드라이브'로도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대응을 비롯해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 국정감사 등 세 가지 민감한 현안을 전면에 올려놓고 각 부처에 대응 점검을 현금서비스 이자율 직접 주문했다. 정보시스템 사고, 해외 치안 불안, 정치권 정쟁 등 복합 악재로 흔들렸던 정부 기조를 재정렬하며, 대통령이 다시 '상황판'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미다. 이를 통해 연휴 직후부터 국정의 고삐를 다시 쥐겠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국정운영 주도권 쥔 李대통령, 대응 체계 재정비…'책임' 강조 이 대통령은 캄보디 생애첫주택구입 아에서 발생한 우리 국민 대상 취업 사기·감금 범죄와 관련해 "무엇보다 피해자 보호와 신속한 국내 송환이 급선무"라며 "캄보디아 치안 당국과 상시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실종 신고 확인 작업도 조속히 진행하라"고 지시했다. 또 "범죄 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여행제한을 강화하고, 재외공관에 도움 요청 시 즉각·상시 대응 가능하도록 제도와 예산 편성을 신속히 하라"며 "예산 문제로 업무가 지연되지 않게 가용자원을 총동원하라"고 당부했다. 결국 이번 국무회의는 단순한 현안 보고가 아닌, 대통령이 '국정 재가동 모드'를 선언한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연휴 이후 국정의 동력을 재정비하고 현안을 직접 챙기겠다는 대통령의 행보는,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다시 대통령실이 쥐겠다는 강한 메시지로 읽힌다. 이러한 메시지의 연장선으로 이 대통령은 이날 국정감사를 앞두고 공직 사회의 기강 문제도 직접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국회에서 증언을 요구받은 공직자가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출석을 거부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일은 절대 있어선 안 된다"며 "요즘은 거짓말을 잘하는 게 실력처럼 돼 버렸다. 가짜 정보로 국민을 속이는 선동이 많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회에서 의원들에게 진실을 말해야 할 사람들이 이를 거부하거나 거짓말을 하면, 그것은 국가의 기강 문제"라며 "우리 식구라 해도 그러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최근 조희대 대법원장의 증언 거부 논란 등 여야 간 공방이 격화하는 가운데, 대통령이 직접 '진실성'을 강조한 것은 정쟁보다 책임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번 국무회의는 연휴 이후 대통령이 국정 현안 하나하나를 직접 점검하며 국정의 긴장감을 되살린 회의로 평가된다. 최근 세 가지 현안을 중심으로 대응 체계를 재정비하고, 부처별 보고라인을 다시 세우겠다는 의지가 분명히 드러났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