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분명 우리나라인데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습니다. 경상북도 한 사찰 얘긴데요. 한국어 구령에 맞춰 수행을 하고 불경도 따라 외우는데 먼 이곳까지 왜 찾아오는 건지 밀착카메라 정희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직 사방이 어두운데 벌써 방엔 불이 켜졌습니다. 점점 날이 밝아오고 경주 골굴사의 하루는 시작됩니다. 붉은 낙엽, 웃는 부처상을 지나 수련생들이 강당으로 모였습니다. 그런데 눈 감은 이 수련생. 한국인이 아닙니다. 강당 안 대부분이 외국인입니다. [일어나서 합장합니다.] 아침 명상이 끝나면 예불 시간입니다. 남자직장 스님 불경에 맞춰서 손 모으고 입으로 따라 외워 봅니다. 경상북도 깊은 산 속 절에 모인 이런 외국인들, 하루에 30여 명 정도입니다. 다들 각자 다르고도 비슷한 이유 때문에 이곳을 찾았습니다. [니콜라/프랑스 : 이력서도 많이 냈는데 돌아오는 답도 적었고 그 답마저 불합격이었죠. 어느 순 운영기관별 간 "됐다. 마음을 좀 비우고 내가 좋아하는 것에 집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곳에 한달동안 오게 됐어요.] 사는 게 힘들었고 온전히 마음을 내려 놓을 곳이 필요했습니다. 오후가 되자 우리 전통 수행법인 '선무도' 시범이 시작됩니다. 손바닥을 모으고 다리를 들어올리고 기운을 모아 팔을 뻗는 수강생들 신협 주택담보대출 , 역시 모두 외국인들입니다. 오히려 박수 치고 구경하는 구경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한국인입니다. 이 외국인들, 매일 몇 시간씩 선무도 수련을 했습니다. 실수한 수강생이 팔굽혀 펴기 벌칙을 받아도 안 쓰던 근육을 쓰면서 힘에 부쳐도 지금 이 시간이 즐겁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108배. 롯데캐피탈 백 여덟가지 번뇌를 내려놓는 수행입니다. 몸을 낮게 엎드리는 이 자세. 익숙치 않습니다. 거친 숨소리가 울리고 하나 둘 포기하기 시작합니다. 벨기에에서 온 사라는 끝까지 해냈습니다. [사라/벨기에 : 하나, 둘, 셋…여덟..열? 스물? 절대 안 끝날 여자자연산 것 처럼 느껴지죠. 그러다 보면 그냥 하게 돼요. 몸이 그냥 자동으로 하게 돼요.] 방석이 땀으로 다 젖도록 힘을 썼던 니콜라도 108배를 끝냈습니다. [니콜라/프랑스 : 절이 어떤 의미인지 확실하게는 모르지만, 선무도에서 행하는 모든 동작은 명상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동작에 집중하고 생각은 안 하죠.] 끝낸 기분 어떠냐고 묻자 대답은 분명했습니다. [니콜라/프랑스 : 이제 저녁시간이에요!] 많이 움직인 만큼 많이 먹습니다. 인천공항에서도 한나절을 더 와야 도착할 수 있는 이곳까지 왜 왔느냐고 물어봤습니다. [사라/벨기에 : 진짜 한국을 보고 싶은 여행자가 있다면 서울을 벗어나야 됩니다. 한국의 삼대 왕조 같은 다채로운 역사를 경험하고 장인의 음식을 경험해 보기 위해서라면요.] 전 세계에서 이 사찰을 찾아오는 이유는 어쩌면 우리와 다르지 않을 겁니다. 복잡한 세상에서 잠시 멈춰 나 자신을 보고싶은 마음, 더 화려하고 복잡하게 부수고 만드는 것보다 이런 공간을 더 찾고 알리는 건 어떨까요? [영상취재 신동환 영상편집 홍여울 VJ 장준석 작가 강은혜 영상자막 홍수정 심재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