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물이 흐르는 강을 따라 걷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힐링이다. 섬진강은 전북·전남·경남을 관통해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하천으로, 남도의 자연과 사람들의 삶이 맞닿아 있는 강이다. 섬진강(蟾津江)의 '섬(蟾)'은 두꺼비를 의미한다. 고려 우왕 때(1385년경) 왜구가 침략했을 때, 강 하구의 군사 요충지 '섬진(蟾鎭/蟾津, 두꺼비 나루)' 부근에서 수많은 두꺼비가 울어 왜군이 놀라 물러났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과거에는 모래내, 다사강 등으로도 불렸다. 섬진강 상류는 대체로 호남정맥 등 산악 지형 사이를 흐르는 계곡 성격을 띤다. 상류 구간은 산지 하천의 특성을 보여 충적 평야는 비교적 협소한 편이다. 다만다모아릴게임 임실의 옥정호(섬진강댐으로 조성된 저수지)와 구례 읍내·하동 평사리 등에는 소규모 분지나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청정 수질을 자랑하는 섬진강은 예로부터 다양한 수산자원의 보고였다. 특히, '강의 웅담'으로 불리는 다슬기는 섬진강의 대표 특산품이다. 물이 맑고 바위가 많은 섬진강 상류 지역에서는 다슬기잡이 체험은 신선한 즐거움을 가져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다준다.
섬진강의 빼어난 자연경관은 최근 건강과 여가를 즐기는 공간으로도 변모하고 있다. 사진은 순창군 체육공원에서 주민들이 수려한 강 풍경을 배경으로 생활체육을 즐기는 모습으로, 보기만 해도 힐링 남도를 느낄 수 있다.
#시간이 빚은 조각, 섬진강 상류 장군목 섬진강이 굽이쳐 흐르는 전북 순창군 동계면 일대에는 수천 년 세월이 빚어낸 경이로코스피매수 운 하천 지형이 숨 쉬고 있다. 이른바 장군목 계곡으로, 험준한 용궐산과 무량산 사이를 흐르는 섬진강 상류의 물살이 만들어낸 침식 지형이다. 장군목은 섬진강 물줄기가 마치 장구의 목처럼 좁아지는 구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약 3km에 걸쳐 거대한 바위들이 강물 속에 펼쳐져 있다. 장군목의 수많은 기암괴석 중에ELS란 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요강 바위다. 높이 약 2m, 지름 약 3m 크기의 이 바위는 중앙이 움푹 파여 마치 요강이나 큰 항아리처럼 생겼다.
이런 바위들은 포트홀(Pothole), 우리말로 돌개구멍이라고 불리는 침식 지형이다. 이는 강물에 쓸려 내려온 모래나 자갈이 기반암의 오목한 틈에 들어가 물살의 힘으로 끊임없이 회전하면서 바위를 깎아내 구멍을 뚫은 것이다. 장군목에는 원형, 타원형, 심지어 콩나물 형상이나 하트 모양을 닮은 포트홀들이 수없이 많다. 섬진강의 거센 물살이 빚은 기묘한 바위들은 그 자체로 예술 작품이다.
# 운해(雲海) 속을 걷다, 순창 채계산 출렁다리의 몽환적인 아침 섬진강의 맑은 지류인 적성강을 품고 솟아 있는 채계산에 새벽안개가 깃들면, 현수교인 '채계산 출렁다리'는 현실과 꿈의 경계를 넘나드는 몽환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채계산은 그 산세가 마치 책을 쌓아 놓은 듯하다 하여 '책여산(冊如山)'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산의 형상이 달밤에 비녀를 꽂은 미녀가 누워 시를 읊는 듯하다 하여 '월하미인(月下美人)'이라는 아름다운 별칭도 가지고 있다. 채계산 출렁다리는 순창의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로, 적성면 채계산과 동계면 채계산을 연결한다. 다리 위에 서면 발아래로 적성강과 순창의 드넓은 들녘이 한눈에 펼쳐져 아찔한 스릴과 압도적인 조망을 동시에 선사한다.
특히, 일교차가 크거나 비 온 뒤의 새벽에는 섬진강과 적성강 수면에서 피어오른 안개(운해)가 채계산 자락을 가득 메운다. 출렁다리 주변의 정자와 전망대는 훌륭한 사진 촬영 장소다.
어도
#보(洑)를 넘어, 섬진강 적성·유등에 놓인 생명의 사다리, 어도(魚道) 과거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설치된 인공 구조물(보)로 인해 물고기들의 회유(回遊)가 단절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 섬진강의 건강한 생태계 회복을 위해 어도(魚道, 물고기길)가 설치되었다.
섬진강 상류 보에도 물고기의 이동 특성을 고려한 계단식(어류의 돌진 속도와 유속을 고려하여 경사를 완만하게 설계) 또는 S자형 어도가 설치되었다. 이는 물고기가 주 흐름 가장자리의 유속이 느린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습성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강의 어도는 작은 물고기들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사람과 물고기가 공존하며 하천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명의 사다리' 소임을 수행하고 있다.
고뱅이살
# 고뱅이살 섬진강이 지류 적성강과 만나 하나의 물줄기를 이루는 길목,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와 유촌리 사이의 여울진 강변에는 옛 선조들의 자연 친화적 어로 방식인 '고뱅이살'이 복원되어 있어 흥미롭다. '살'은 강이나 바다에 나무나 돌을 쌓아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함정 어구의 일종이다. 고뱅이살은 여울목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어살의 연원은 조선 전기인 15세기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저탄(猪灘) 관련 기록에도 남아있을 만큼 유서 깊다. 고뱅이살은 강에 자연석을 V자형으로 막아 쌓고, 가운데 물이 지나가는 좁은 통로에 대나무 발을 엮어 만든 함정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강물을 따라 하류로 내려가던 은어, 참게, 뱀장어 등이 자연스럽게 V자 끝의 함정으로 유도되어 잡힌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전통어로 방식이다. 특히 이곳에서 잡힌 참게와 잉어 등은 조선시대 순조 임금에게 진상되기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그 명성을 짐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