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 (서울=연합뉴스) 문화재청이 지난해 국방부가 시행한 강원도 철원군 화살머리고지 일대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서 수습된 유품 544점 보존처리를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화살머리고지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 2020.4.10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비무장지대(DMZ) 내 6·25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이 약 3년 만에 재개됐다. 국방부는 15일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2022년에 중단됐던 강원도 철원 백마고지 일대 유해발굴을 오늘부터 재개했다"고 고객 유입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돌려보내 드리기 위한 노력이며,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실질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남북은 2018년에 체결한 '9·19 군사합의'를 통해 강원도 철원지역 DMZ에서 남북이 함께 6·25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 대학생대출금리 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남측은 2019년 4월부터 DMZ 남측 지역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발굴을 시작했지만, 북측은 DMZ 북측 지역에서 유해 발굴에 나서지 않아 DMZ 내 6·25 전사자 유해 발굴은 남측 단독 사업으로 진행됐다. 우리 군은 화살머리고지에 이어 백마고지에서도 유해 발굴을 시작했지만, 안보상황 악화에 삼성생명주택담보 따른 안전상의 이유로 2022년 11월까지만 진행하고 중단했다. 화살머리고지에선 2019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유해 424구와 유품 10만1천816점, 백마고지에선 2021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유해 67구와 유품 1만5천670점을 각각 발굴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화살머리고지에선 유해 발굴이 완료 농협 채움적금 됐기 때문에 재개할 필요가 없지만, 백마고지에선 과거 발굴 당시 수습하지 못한 유해 50구 외 다수의 유해를 수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일단 다음 달 말까지 160여명의 인원을 백마고지에 투입해 과거 발굴 당시 방치됐던 유해 50구를 수습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유해 발굴 재개는 9 우리은행 인증서 ·19 군사합의 복원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구축을 위해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 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적대행위 금지를 골자로 한 9·19 남북군사합의는 ▲ 육상 및 해상 완충구역 내 포사격 및 기동훈련 금지 ▲ 비행금지구역 설정 ▲ JSA 비무장화 ▲ 남북 공동 6·25 전사자 유해 발굴 ▲ 한강 하구의 평화적 이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1월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9·19 군사합의 중 남북 접경지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한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고, 이에 북한은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후 오물 풍선 살포와 위치정보시스템(GPS) 교란 공격 등 북한의 대남 도발이 이어지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6월 군사합의 전면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직후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며 남북 간 긴장완화에 나섰는데, 이번 DMZ 유해 발굴 재개에는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 단계적으로 복원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hoj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