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조기용 기자 = 가족 구성원이 자살하면 남겨진 이가 하루 더 일해야 한다면? 영화감독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김영탁(49)의 신작 소설 '영수와 0수'(아르테)는 이 충격적인 상상에서 출발한다. 소설은 복제인간과 기억매매가 일상화된 미래 사회, 자살이 '죄'로 규정되고 처벌받는 세계를 그렸다. 김영탁은 영화 '헬로우 고스트’(2010), '슬로우 비디오'(2014)의 각본과 연출로 각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과 피 기관별전망 렌체 한국영화제 관객상 등을 수상한 감독이다. 2018년 첫 소설 '곰탕'으로는 10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올랐다. 그가 7년 만에 내놓은 두 번째 장편 '영수와 0수'로 다시 한번 독자들과 만난다. 서울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2020년 초고를 썼는데 5년 만에 책으로 나와 감회가 새롭다 도지혜 "고 말했다. "내 일을 대신할 복제인간 있으면 좋겠다는 상상"
'영수와 0수'의 소재는 '자살'이다. 정부는 급격히 늘어나는 자살을 막기위해 '연좌제식 근무 페널티법'을 시행한다. 가족 중 누군가 자살하면 가장 가까운 이가 하루 근무를 추가로 하게, 노동을 '형벌'로 체감하게 만든다. 신용카드 발급조회 김영탁은 이런 설정에 대해 "벌금도 고민해봤지만 효과가 제한적이라 생각했다. 가장 실질적인 형벌은 노동의 증가라고 봤다"며 "연대감을 지닌 가족에게 책임을 지우는 방식이야말로 독자에게 더 강하게 다가갈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작품은 그의 경험에서 비롯됐다. 드라마 대본 작업 중 번아웃을 겪었던 그는 무료개인신용등급조회 "점점 위축되면서 죽음까지 생각이 이어졌다. 그때 '내 일을 대신할 복제인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상상을 하게 됐다"고 털어놨다. 이런 경험과 상상은 주인공 영수에 투영된다. 영수는 인공지능과 바이러스가 만연한 사회에 절망하며 삶의 의미를 잃어가다 복제인간을 통해 인생의 마지막 일주일을 계획한다.
카드연체 신용등급 "죽음을 결코 가볍게 다루고 싶었던건 아닙니다. 재미있고 대중적이고 보편성 있는 이야기를 만드는 게 제가 하는 일이자, 역할이라 생각해요. 다소 무거운 주제지만 가볍게 쓴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독자들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아도, 좀 더 느슨하게 살아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어요."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김영탁 감독이 26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뉴시스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5.09.26. jhope@newsis.com
마침표 대신 쉼표, 문장 생략한 신선한 문체…영화 같은 호흡
'영수와 0수'의 문체에는 김 감독이 쌓아온 영화 시나리오 경험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마침표 대신 쉼표로 문장을 끝내 마치 영화 장면이 전환되는 듯한 호흡과 속도감을 준다
그는 "소설 분위기를 가볍게 하기 위해 문장에 리듬을 부여하고, 과감하게 문장을 생략하기도 했다"며 "영화 작업을 하며 함축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화 시나리오와 소설 집필의 차이점에 대해 "영화는 음향, 영상, 배우의 연기 등 외적인 요소로 시나리오를 보완할 수 있지만 소설은 오롯이 글자로 승부해야 하는게 어렵다"면서 "그럼에도 소설은 온전히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쾌감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김영탁 감독이 26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뉴시스와의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09.26. jhope@newsis.com
다시 본업으로…"새 영화, 감동 주는 성장 드라마"
김 감독이 소설가로 변신한 것은 2018년이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그리워하며 써 내려간 습작이 '곰탕'으로 완성됐고, 책은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문단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곰탕'은 드라마로도 제작이 추진되고 있다.
그는 현재 다시 본업인 영화감독으로 돌아가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곰탕' 드라마 각색이 진행 중이며,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하루 동안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도 작업 중이다. "새 영화는 스포츠물이지만 결국 성장 드라마에요. 어른과 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또 다른 감동을 전하고 싶습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김영탁 감독이 26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뉴시스와의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09.26. jhop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