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사용되는 K-팝 음악 저작권료 수백억 원이 징수 과정에서 증발하면서 국내 저작권자에게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1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참석한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음저협') 이시하 이사는 "K-팝 창작자들이 중국시장과 OTT 플랫폼에서 정당한 저작권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이사는 "중국 플랫폼은 저작권료를 지급했지만, 그 돈이 국내 창작자에게 돌아오지 않고 사라졌다"며 "문제의 핵심은 중간 유통 과정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시하 이사는 '중간 착취 배후'의 존재를 밝히며 "텐센트 등 중국 플랫폼은 저작권료를 지급했지만, 작가와 계약도 하지 않은 국내 퍼블리셔(대리중개 인터넷1분대출 업자)가 이를 징수해갔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동안 중국 저작권료는 '받기 어려운 해외의 돈'으로 인식됐으나 실상은 '내부의 구조적 비리 및 범죄'라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K팝의 성공에 기생해 창작자의 몫을 가로챈 세력이 있다는 의혹이 협회 임원을 통해서 처음으로 밝혀진 셈입니다. 이시하 이사는 "중국내 직장인캐피탈대출 K-팝 음원 사용자들이 사용료를 내지 않아서 지금까지 우리 창작자들이 저작권료를 못 받는다고 알고 있었는데 사실은 달랐다"며 "한국의 유통사와 텐센트를 연결해주는 퍼블리셔가 음원 수익을 편취했다는 증언도 다수 확보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국내 유통사가 받아야 할 음원수익 역시 개인일수 불투명하게 지급되고 있는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이 이사는 "K-드라마가 전 세계에서 각광받지만 OTT 저작권료 정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제한 뒤 "해외 음악작가들은 넷플릭스 등으로부터 저작권료를 받는데, 한국 작가들만 못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사는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 사들이 한국에 저작권료를 내 항공권 지 않는 점, 스트리밍 분야 저작권료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점이 해결돼 음악작가들의 삶이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K팝 저작권 문제가 왜 수년간 해결되지 못했는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증언이었습니다. 전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음에도, 정작 그 콘텐츠의 핵심인 음악 창작자들은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상에 전세자금대출금리 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K-콘텐츠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문체위 소속 김재원 의원(조국혁신당)은 "지난 10년간 한국이 중국에서 징수한 K-팝 저작권료는 연평균 4억 원에 불과했다. 텐센트뮤직 연매출이 6조 원에 달하고 K-팝 비중이 최대 10%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수백억 원대의 저작권료가 사라진 셈"이라고 지적하면서, "불법적인 이익을 환수하는 것은 물론 관련자들을 고발 조치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습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중국저작권과 대리중개업자들에 대해 전면적 실태조사를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정부가 '전면적 실태조사'를 통해 K팝 산업 생태계를 바로잡는 실질적인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지 전 세계 K 팝 팬들의 눈길이 쏠립니다. MBN 문화부 이상주기자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