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살인자' 전립선암은 초기엔 거의 증상이 없어 많은 환자가 뒤늦게야 병원을 찾는다. 다만 조기 발견 시 생존율은 눈에 띄게 높아진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월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1~2기에서 치료를 시작 좋은회생출발 할 경우 5년 생존율이 99%에 달하지만 뼈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후엔 49.6%로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은 현재 남성에게 폐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고령화가 진행되고 서구식 식단이 늘어나면서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통계를 보면 지난 10년간 환자 수가 약 계약금의배액 2.5배나 늘었다. 전립선암 위험을 높이는 요인은 명확하다. 나이가 가장 큰 요인이고 가족력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버지나 형제가 전립선암을 앓았다면 발병 위험은 3배 정도 높아진다. 비만이나 고지방 식단, 운동 부족도 위험을 높이는 요소다. 한국전립선관리협회 자료에 따르면 비만한 남성은 저체중인 남성보다 전립선암 위험이 1.4배 높다 자동차할부금융수수료 . 다만 증상을 느꼈을 때는 이미 늦은 경우가 많다.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밤에 자주 깨서 화장실에 가게 되고 때로는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단순한 전립선비대증으로 여기기 쉬워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적잖다. 조기 발견의 핵심은 정기검진 전립선 특이항원(PSA) 검사다. 이 검사는 간단한 부동산 채혈만으로 전립선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어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다. PSA는 전립선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수치가 높으면 전립선암이나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국내에선 PSA 검사가 국가 일반건강검진 기본 항목에 포함돼 있지 않아 정기검진 시 추가로 신청해야 한다. 이에 대한비뇨 차량유지비양식 의학회 등 의료계에선 국가검진에 PSA 검사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50세 이후 남성은 매년 PSA 검사를 받는 게 좋다.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 당뇨병 등이 있는 고위험군이라면 45세부터 매년 검사받기를 권한다. 전립선암 예방을 위해선 건강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며 채소, 과일, 생선 위주 식단을 선택하고 고지방 음식과 가공육은 줄이는 것이 좋다. 금연과 금주도 기본이다. 김종욱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PSA 수치만으로 전립선암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4ng/㎖(나노그램 퍼 밀리리터) 이상이면 정밀검사가 권고된다"며 "다만 수치가 높다고 해서 모두 암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전문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추가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PSA 수치가 정상이어도 직장수지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추가 검사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효진 기자 hyost@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