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차기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16일(현지시간) 이달 중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다만 추가 인하의 시기와 폭은 경제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경제 참모 출신인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0.50%포인트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보다 빠른 금리 인하 속도를 거듭 강조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미국외교협회(CFR) 연설에서 “노동시장 관련 자료를 종합적으로 볼 때, 오는 농협 월복리적금 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 이후의 추가 인하 여부는 경제 성장세의 지속성과 노동시장 약화 정도를 더 관찰한 뒤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여, 점진적 통화완화 기조를 시사했다. 월러 이사는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 사업자 전세자금대출 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라고 평가하며, 노동시장 둔화 위험에 대한 연준의 대응이 우선돼야 한다는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연준 이사로 임명됐으며, 내년 5월 제롬 파월 의장의 임기 종료 이후 차기 연준 의장 유력 후보 중 한 명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 마이런 이사는 이날 폭스 비즈니스 TV 인터뷰에서 “이번 FOMC 회의에서는 50bp(0.50%포인트) 인하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난달 연준 현대캐피탈대환 이사로 취임한 마이런은 9월 FOMC 회의에서도 다수 위원의 0.25%포인트 인하안에 반대하며 0.50%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바 있다. 그는 다만 “이번 회의에서는 0.25%포인트 추가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며, 연준이 올해 총 세 차례(0.75%포인트)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이런은 전날 연설에서도 농협제1금융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를 이유로 “연준이 더 신속하게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지난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하며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달과 12월 회의에서 각각 0.25%포인트씩 추가 인하가 이뤄질 경우, 올해 총 0.75%포인트 인하가 된다. 이는 연준이 지난달 발표한 경제전망(SEP)과 월가의 전망치 모두와 대체로 부합하는 흐름이다. 제롬 파월 의장 역시 지난 14일 연설에서 “고용의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며 0.25%포인트 금리 인하 필요성을 시사했다. 연준은 오는 28~29일 FOMC 회의를 열고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