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가자 우리 이 도로를!” 장애인, 여성, 아동, 이주민 등 사회 약자·소수자에 대한 차별없는 세상을 바라는 시민들이 1일 자전거를 타고 춘천 시내를 행진했다. 함께자전거 추진위원회는 이날 자전거와 도보를 통해 춘천 시내를 행진하는 제3회 ‘2025년 함께 자전거’ 행사를 열었다. 이날 오후 강원대 미래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기후위기 잡는 천하무적 자전거’, ‘두발과 두바퀴로 도로 씨티은행 대환대출 민주주의’, ‘모든 이주민 안전한 체류 보장하라’ 등의 문구가 적힌 종이 피켓을 등에 멨다. 속초 설악고 체육교사인 정대교(55) 씨는 지난해 3월부터 늘해랑보호작업장 소속 장애인 10여명을 대상으로 자전거 타는 법을 가르쳐왔다. 2주에 한 번 진행해온 수업은 이날 행진으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정 씨는 “지난 2년 간 늘해랑 분들과 자전거를 타며 저 역 원리금균등상환 계산법 시 ‘힐링’이 됐다”며 “자전거를 못타던 분이 타게 됐을 때, 모두가 박수를 치며 축하해주던 ‘축제’같은 장면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전했다. 네팔에서 온 파턱 아난더 라지(36) 씨와 기메레이 슬라브(24) 씨는 대학원 지도교수의 권유로 행진에 함께 했다. 파턱 씨는 “한국인들과 다같이 자전거를 탈 기회가 생겨 좋다”며 “춘천이라는 아름다운 도시에 자전 아파트담보대출이자 거 도로가 생기면 좋겠다”고 했다. 대구 시민 안진현(52) 씨는 3년 째 춘천 자전거 행진에 참여하고 있다. 이날은 업무차 양양에서 춘천으로 왔다. 고속버스에 자전거를 싣고서다. 그는 “100㎏이 안 되는 사람이 1t이 넘는 차를 타고 다니며 연료를 태운다. 환경에 나쁘다”며 “자전거는 주차도 편하다. 용기를 내서 생활 속에서 자전거를 타 볼만하다”고 권 신용정보조회 했다. 중간 집결지 팔호광장에서 만난 참여자들은 화천 빠즈 또깐두 팀의 북소리에 맞춰 어깨를 들썩이며 춤을 췄다. 이들은 “여성 아동 짓누르는 불평등을 철폐하자”, “모두가 안전한 길 춘천시에 촉구한다” 등의 구호를 함께 외쳤다. 강상석 함께자전거 추진위원장은 “우리는 내 옆의 약자를 위해 서야 한다. 나도 약자이고, 언젠가 그러한 입장에 설 수 있다. 우 텔레마케터 자격증 리가 함께 손잡고 어깨 걸고 연대해야 하는 이유”라고 했다. 함께자전거 행사는 1회용 현수막 대신 상자 피켓을 사용하고, 페트병입물 대신 정수기와 춘천e컵을 비치해 쓰레기 최소화에도 동참했다. 행진은 나비소셜컴퍼니, 강원도 인권센터, 늘해랑보호작업장, 두바퀴로가는세상, 두바퀴로가는세상 사회적협동조합, 춘천시사이클연맹, 춘천시장애인사이클연맹, 춘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춘천호반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 9개 기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설화 기자 lofi@kado.net #자전거 #세상 #행진 #소수자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