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과 수협, 산림조합의 부동산 담보 대출이 특정 신탁사 쏠림속에 대규모 부실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국회 송옥주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신탁사 수익증권을 담보로 삼은 농협 상호금융 부동산 담보대출 연체율은 21.3%에 달했다. 농협 상호금융의 전체 부동산 담보대출 연체율(5.3%)은 물론 부동산 담보 공동대출 연체율(19.2%)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수협도 사정은 매한가지 였다. 지난달 말 기준 수협 상호금융의 부동산 신탁담보 대출 연체율은 16.4%로, 전체 부동산 담보대출 연체율(9.9%)을 크게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 웃돌았다. 문제는 특정 신탁사 쏠림이 두드러졌다는 것. 지난 8월 말 기준 농협 상호금융의 부동산 신탁대출 잔액 51조6279억원 중 23%가 무궁화신탁이라는 회사를 통해 이뤄졌다. 아울러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잔액 총 5조6934억원 중 25%가 무궁화신탁 몫이었다. 수협 상호금 중소기업확인서 발급 융의 경우 무궁화신탁이 Sh수협은행 다음으로 많은 56개 지역 수협에 총 7447억원 규모의 수익증권을 담보로 제공했다. 이 가운데 4분의 1 이상이 연체상태였다. 또 산림조합 140곳 중 46곳(33%)이 무궁화신탁 수익증권을 담보로 총 2159억원을 대출 받았는데 이 중 21.6%가 연체되기도 했다.
송옥주 의원이 17일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 하고 있다. [뉴스1]
송옥주 의원은 “이런 상황은 무궁화신탁이 전직 농협 간부 등을 대거 영입,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무리한 영업활 뱅크 동을 벌인 데 따른 부작용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창석 무궁화신탁 회장이 농협대 동문 등을 중심으로 전국 12개 센터를 구축하고, 수수료를 50% 할인하는 등 공격적으로 영업해 대규모 부실 대출을 키웠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오 회장은 자신의 무궁화신탁 지분 9%를 NH투자증권에 신탁하고, 한국고용정보원 무궁화신탁이 농촌사랑기금 1억원을 전달하기도 했다. 수협은행과는 부동산 금융·신탁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송 의원은 “무궁화신탁의 인맥 위주 공격경영이 안고 있던 리스크의 민낯이 부동산 경기침체를 계기로 드러났다”며 “유례없는 금융부실을 부추긴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오 회장은 국정감사 서면 답변을 통해 “2017∼2023년 지역농협 출신 퇴직자 64명을 위촉해 지역 밀착형 영업망을 강화하고 담보 신탁 영업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협 담보대출 비용을 절감하고 담보신탁제도를 활성화 하는 한편 소액신탁 시장을 선점하려 했다”고 덧붙였다. 오 회장은 “최근 농협을 비롯한 금융기관 부실자산 증가는 브릿지론이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고위험 대출관련 개발사업이 원활히 추진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신탁 회사인 무궁화신탁은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부동산 PF 부실을 이유로 가장 높은 수위의 적기시정조치인 경영개선명령을 부과 받았다. 이 회사는 부동산 경기둔화와 자금시장 경색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익 구조와 리스크관리 체계가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편 정희용 의원도 최근 5년간 조합의 상호금융 대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급증으로 적자조합 수가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최근 5년간 상호금융기관의 연체율과 부실채권, 적자조합 수가 급증하며 지역경제의 뿌리를 흔들고 있다”며 “단순히 수치의 문제가 아니라 지방 소상공인과 고령 농어업인 등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과 생계안정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상호금융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금융건전성 제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