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의 불공정 계약 논란을 낳은 웨스팅하우스(WEC)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한국의 (원자력) 기술 발전을 위해 WEC가 도왔고 APR1400(한국형 노형) 개발과 아랍에미리트(UAE)·체코 원전 수출에도 도움을 줬다"며 "(같은 방식으로) 다른 국가에도 수출하는 것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경제인들 앞에서 WEC가 한국 원전 농협 예금이자 발전에 지분이 크며 앞으로의 수출도 함께할 거라고 강조한 것이다. 가빈 리우 WEC 아시아지역 대표는 31일 '인공지능(AI) 시대 에너지 수요 및 차세대 원자력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 APEC CEO 서밋 세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조석진 한국수력원자력 기술부사장이 31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AI 시대 에너지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 미래 차세대 원자력의 역할'를 주제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 리우 대표는 WEC가 50년 동안 여러 나라에 기술을 전수했음을 상기하며 한국을 대표 사례로 꼽았다. 그는 "한국에서 운영되는 원전의 기술 80%가 WEC 것이고 우리가 핵심 역할을 했으니 (원전 분야에서) 자립했다"며 "우리 덕분에 원자력 수출국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원전 수출 과정에서 W 전국은행연합 EC가 도움을 주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수주 당시 기술 수준이 부족해 WEC에 일감을 떼줬고 올해 체코 원전 수주 때는 지식재산권 분쟁을 해소하면서 50년 동안 원전 수출 시 1기당 1조 원 넘는 일감 제공을 약속했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향해 한국처럼 도와줄 수 있다고 홍보했다. 리우 대표는 "WEC는 ibk저축은행 채용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신흥 국가를 지원할 준비가 돼있다"며 "인적 자원 개발부터 원자력 규제 틀을 만들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고 했다. 이는 세션에 참여한 다른 기업들의 태도와는 달랐다. 보통 원전 분야에서 자신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설명하면서 한수원과의 파트너십에 감사를 표하는 식이었다. 특히 체코 전력공사의 자회사인 두코바니Ⅱ 원자력발전사(EDUⅡ)의 페트르 자보드스키 최고경영자(CEO)는 "한수원을 (파트너로) 택한 것이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확신한다"고도 했다. 한국과 꾸준히 수출을 합작하고 연구개발(R&D)도 함께할 것이라는 뜻도 밝혔다. 한수원과 WEC는 원전을 합작 수출하는 JV(합작회사)를 추진 중이었는데 WEC 측이 과도한 요구를 하면서 논의가 두 달 넘게 멈춰 있다. 이번 발언으로 미뤄보아 WEC는 JV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시공 능력이 없는 WEC가 한수원을 통해 원전을 수출하겠다는 욕심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리우 대표는 "(한수원과) 함께 손잡고 (해외로) 진출할 것"이라며 "AI 이니셔티브, 디지털 트윈 등 협력을 확대하고도 싶다"고 했다.
연관기사
• 누구의 매국인가...욕심과 방임으로 '슈퍼 을' 신세된 한국 원자력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102318320001348)
• 웨스팅하우스와 '굴욕 합의' 비판에 한수원이 꺼낸 카드...그런데 두 달 째 멈췄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101412130000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