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 우주환경센터는 이달 20일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우주환경 분야 국내·외 전문가와 관련 기관과 함께 '제15회 우주환경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우주환경은 태양활동에 따라 변화하는 지구 및 주변의 전자파·입자·자기장 등의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특히 2024년부터 태양활동 극대기가 시작하면서 흑점폭발, 태양입자 유입, 지구 자기장 교란 등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런 변화로부터 위성·항공 등 주요 국가 기반 시설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콘퍼런스는 '태양활동 극대기 대 학자금 전환대출 단점 응과 국제 사회의 노력'을 주제로 한다. UN 산하 전문기구(ICG·국제전파항법위원회)와 미국·중국 등 해외 주요 기관 및 국내 산·학·연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이들은 △태양활동 극대기에 따른 위성·항공·통신 분야별 영향 △우주환경 예측기술 개발동향 △우주개발을 위한 우주환경 정보 활용 △선진기관과의 국제 공동연구 및 국가 간 전문대학 순위 협력 방안 등을 다룰 예정이다. 기조연설의 경우 최만수 우주항공청 우주위험대응과장, 뤄빙셴 중국과학원 국가우주과학센터(CAS NSSC) 연구개발과장, 샤라팟 고디모바 UN ICG 사무총장이 나선다. 이들은 각각 △우주상황인식(SSA) 우주교통관리(STM) 정책방향 △AI를 활용한 우주환경 연구개발 △UN의 우주환경 정책 등을 소개한다. 신용평가 또 우주환경과 위성, 우주환경과 항공, 우주환경과 우주개발 등 다양한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태양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우주환경 예측기술을 공유하고 국제협력 기반을 다지는 자리"라며 "우주환경 국제기구와 해외 선진 기관과의 기술·정책 교류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환경 업무 역량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웰컴론legomaster@news1.kr<용어설명>■ SSA궤도상 우주물체 충돌 위험 관리 체계■ STM우주물체의 안정적 운용을 위한 조정·관리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