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독과 오케스트라의 이별은 ‘완전한 끝’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랜 기간 악단에 몸담은 지휘자의 이상(理想)은 오케 회원관리 스트라의 정신에 깊게 뿌리내리고, 단원들의 음질과 음색을 변화시키며, 독보적인 음악 세계를 일구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베를린 필하모닉에서 카라얀의 흔적을, 뉴욕 필하모닉에서 번스타인의 그림자를 찾을 수 있는 이유다. 이제 로스앤젤레스(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도 소리로 기억해야 할 존재가 생긴다. 2009년부터 16년간(17번째 애드론 시즌) 음악감독을 맡으며 LA 필하모닉을 세계 정상급 반열에 올린 마에스트로 구스타보 두다멜(44)이 내년을 끝으로 악단을 떠난다. 그는 미국 최고 명문 악단인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으로 자리를 옮긴다. ◇등장하는 순간부터 환호성 지난 2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두다멜과 LA 필하모닉의 마지막 바젤3 내한 공연. 두다멜이 전 세계 클래식 애호가가 열광하는 ‘지휘계 슈퍼스타’란 건 그가 등장하는 순간 바로 체감할 수 있었다. 보통 공연이 끝나고서야 들릴 법한 감탄과 환호성이 객석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이날 LA 필하모닉이 선보인 작품은 말러 교향곡 2번 ‘부활’이었다. 말러가 평생 천착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을 담은 교향곡이다. 전곡 연주에만 90분 국민주택기금대출서류 가까이 소요되며, 오케스트라에 혼성 합창과 성악 솔로 등이 결합된 대작(大作)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두다멜은 첫 소절부터 각 악기군의 소리를 정교하게 조율하면서 견고한 음향을 만들어냈다. 현의 무게감 있는 터치와 목관의 명료한 선율, 금관이 불러내는 탄탄한 울림은 절묘한 균형을 이루면서 용암이 솟구쳐 오르는 듯한 웅장한 악상을 선명하게 드러냈다. 두다멜은 말러가 생전에 ‘장례식’이란 제목을 붙인 1악장에서 고음과 저음, 장음과 단음, 연결과 단절, 밝음과 어두움 등의 대비를 집요하게 파고들면서 생사(生死)에 대한 상반된 주제와 감정을 세밀하게 살려냈다. 그는 자신의 해석에 따라 전진해야 할 때와 숨을 골라야 할 때를 정확히 구분해서 표현했고, 조금의 과장도 허용하지 않았다. 악단은 빈틈없는 호흡과 하나의 유기체처럼 움직이는 단단한 응집력으로 지휘자 손짓에 내내 긴밀하게 반응하면서 팽팽한 긴장감을 선사했다. 두다멜은 2악장에 들어서자 음향의 밀도를 높이기보다는 오히려 투명하면서도 순수한 음색을 불러내는 데 집중했는데, 이는 1악장과의 대조는 물론 ‘삶의 아름다운 순간’을 표현한 말러의 의도를 명료하게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었다. 행복의 허상 등을 풍자한 가곡을 바탕으로 작곡된 3악장에선 왈츠의 리듬을 시종 예민하게 다듬었다. 작품 본연의 활기를 불러내면서도 각 파트가 동등한 힘으로 맞물리고 부딪히며 만들어내는 묘한 긴장감은 놓치는 법이 없었다.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5악장. 직선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금관의 거대한 울림과 타악의 격렬한 타격으로 ‘디에스 이레’(진노의 날) 선율을 품은 죽음의 악상을 생생하게 불러낸 두다멜은 섬세한 강약 조절, 음영 변화로 소리의 공간감을 쌓으며 벅찬 환희로 고조되는 말러를 호소력 있게 그려냈다. 짜임새와 구성이 복잡해 자칫 난잡하다는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작품이지만, 두다멜은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는 악구의 흐름을 긴밀히 조형하면서 신비로운 역동감을 불러일으켰다. ◇말러 특유의 대담한 감정선 표현 전체 구조에선 상당한 절제를 이뤄내면서도, 세부 표현에선 말러 특유의 대담한 감정선을 세밀하게 살려내며 입체적인 음향을 빚어냈다. 소프라노 첸 레이스, 메조소프라노 베스 테일러는 마지막 이중창에서 부드러우면서도 묵직한 울림으로 말러의 다채로운 악상을 전면에 드러내며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솔리스트가 한 호흡을 이루며 감정적 증폭이 일어나는 순간, 단순히 물리적인 힘으로 음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한 선율 한 선율 아주 얇은 종이를 쌓아 올리듯 서서히 소리의 명도와 깊이에 변화를 주면서 최후의 음까지 광활한 에너지를 쏟아내는 결말은 말러가 그린 ‘부활의 순간’을 경험하기에 조금의 부족함도 없었다. 두다멜이 공중에 띄운 손을 마침내 멈추자, 2000여 명의 청중은 참을 수 없다는 듯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뜨거운 환호성을 내질렀다. 그렇게 시작된 기립박수는 10분간 쉼 없이 이어졌다. “그와 함께하는 동안 (우리에게) 불가능한 것은 없었다.” 데버라 보다 전 LA 필하모닉 대표가 두다멜에 대해 남긴 말이다. 실제로 그와 16년간 함께한 LA 필하모닉의 소리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와 자신감, 음악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켜켜이 배어 있었다. 깊은 신뢰를 자양분으로 함께 성장한 감독과 악단, 이들을 기억할 마지막 페이지로 손색없는 무대였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