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보다 경계가 한층 강화됐습니다. 여기로는 출입할 수 없습니다. 안전을 위해 돌아가세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둔 28일 오전 10시께 경주 국제미디어센터(IMC)와 각국 정상의 숙소가 위치한 보문관광단지 주변의 경계수위가 한층 강화됐다. 경찰 인력이 전날보다 추가 투입되면서 전날까지만 해도 통행이 자유로웠던 미디어센터 곳곳에는 반투명 철제 바리케이드가 추가로 설치됐다. APEC 정상회의장으로 쓰이는 경주화백컨벤션센터 회의장 주변에는 수많은 검문대와 오가는 보안요원 등이 곳곳에서 저축은행 대출 신분을 검사하며 APEC 정상회의가 곧 시작될 것을 짐작하게 했다. 2005년 부산 이후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경주 APEC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우리나라가 주최하는 첫 대규모 다자외교의 장인 만큼 돌발 사태 위험이 여느 때보다 커져 당국은 바짝 긴장 중이다. 경주 시내 도로 위로는 각국 언어와 국기가 새겨 개인회생서류 진 외교 번호판 차량들이 잇따라 모습을 드러냈다. 짙게 선팅된 고급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사이드카의 경호를 받으며 이동했고, 도심 곳곳에서는 경호 인력이 일제히 교통을 통제했다. 정상회의장 주변엔 구급차와 경찰차가 수시로 순찰하며 긴장된 공기를 더했다. 상공에는 소방 구조 헬기 두 대가 교대로 선회하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 개별원가계산 는 모습도 보였다. 보문단지 일대 숙소 일부는 이미 경호·경비 당국의 전진기지로 전환됐다. 외부 시야가 차단된 주차장에는 경찰특공대의 장갑차와 폭발물처리차가 대기 중이다. 눈에 띄진 않지만, 회의장 일대는 이미 '준(準) 경계 태세'에 들어간 모습이었다.
간이사업자대출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 시작 둘째 날인 28일 보문단지 내 위치한 힐튼 호텔 앞이다. 차량검색 절차가 진행 중이라는 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데일리안 맹찬호 기자
경찰과 APEC 관계자들은 통로 차단에 갈 길을 잃은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돌아서 가야 한다. 여기 경희대학교 등록금 는 통제 구역이라 못 들어가니깐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 부탁한다"고 안내하기도 했다. APEC 정상회의 참석자들 일부는 비표교부센터에서 발급한 ID카드를 보여주며 "통과하면 안되냐"고 묻자 보안상의 이유로 정문으로 들어가야 한다며 단호히 거절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현장 취재진이나 자원봉사자 등 예외는 없었다. 경계 상황도 한층 강화되고 있었다. 도로 가장자리 차로는 경찰 차량이 경광등을 켜며 줄지어 주차돼 있었고, 사이드카는 주기적으로 도로 순찰을 하는 모양새였다. 이같은 모습을 지켜보던 관광객 프랑스인 로즈네씨는 "어제 경주역에 내려 경주 시내에 숙소를 잡았다"며 "보안 검색이 한층 강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경주 지역 12개 주요 호텔에는 정상들을 위한 최고급 객실, 이른바 PRS(정상급 숙소) 35개가 마련됐다. 21개 회원국 정상단의 숙소는 대부분 보문단지 안쪽에 집중 배치돼 사실상 'APEC 마을'을 이룬다. 미국 대표단은 힐튼호텔, 중국은 코오롱호텔, 일본은 라한셀렉트호텔에 각각 머무는 것으로 전해졌다. 각국 경호 인력이 사전 점검을 마치고 투숙객 접근을 통제하면서, 평소 관광객으로 붐비던 보문단지 일대는 일찌감치 회색빛 긴장감에 휩싸였다. 국제 미디어센터 옆에 위치한 힐튼 호텔 외부에 다가서자 삼엄한 보안 경비태세 분위기가 느껴졌다. 주변을 취재하며 맴돌자 미국 국적으로 보이는 보안직원 여러 명이 날카로운 눈빛으로 계속 감시했다. '안전을 위해 차량검색 절차 중'이라는 간판이 입구마다 설치돼 있었으며 2인 1조의 경찰·보안 인력이 수시로 호텔 주변을 돌아다니고 있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머물 것으로 알려진 경주 코오롱호텔 주변은 이른 아침부터 삼엄한 경비로 둘러싸였다. 호텔 진입로 곳곳에 경찰 경비차가 배치됐고, 경호 인력이 도로 양쪽을 따라 배치돼 일대 분위기를 바짝 긴장시켰다.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투숙할 라한셀렉트 호텔 주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외곽 도로엔 차단 펜스가 설치됐다. 호텔 주변 상공에는 드론 비행까지 제한되면서 회담을 앞둔 도심이 일찌감치 '특별 경계 구역'으로 바뀌었다.
28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장 인근인 경북 경주 힐튼호텔 ⓒ데일리안 맹찬호 기자
우리 군은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3900여명의 병력을 투입했다. 작전 지휘는 대구에 위치한 육군 제2작전사령부가 맡았다. 회의장 외곽 경계는 육군 50사단이 담당하고, 부산에서 열리는 경제인 회담 등 주변 경호·경비 작전은 53사단이 맡았다. 정상들의 입출국이 이뤄지는 김해공항은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책임지고, 포항과 부산 등 인근 해상은 해군 1·3함대사령부가 경계작전을 수행 중이다. 경찰은 이날 오전 0시를 기해 경북도 전역에 가장 높은 수준의 비상근무 단계인 '갑호 비상'을 발령했다. APEC 기간 하루 최대 1만9000명 규모의 경력이 투입돼 경주 도심 전역이 사실상 봉쇄된다. 정상회의장 상공은 이미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됐고, 드론 위협에 대비해 드론 무력화·격추 장비도 배치됐다. 소방당국도 비상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응급·재난 상황에 대비해 3946명의 인력과 1169대의 장비가 투입된다. 경주소방서는 별도로 소방작전본부 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실시간 상황 모니터링과 지휘를 총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