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에도 무역 갈등이 해소되지 못했다는 평가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하 신중론 등으로 인해 국제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선에서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쯤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997.79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다. 지난 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흥국생명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 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12월 금리 인하설에 대해 “기정사실이 아니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했다. 금은 이자수익이 없는 안전자산이기에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상대적으로 달러 집담보대출 보다 투자 매력이 커져 가격이 올라갈 수 있다. 결국 파월 의장의 발언은 금값 추가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은 것과 마찬가지다. 반면 미·중 간 무역전쟁 갈등은 금값 상승을 이끄는 동력이다. 미·중 양국은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중관세 10%포인트 인하,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1년 유예 등 일부 성과를 거뒀지만 대출 조기상환수수료 시장의 우려는 여전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과의 정상회담 다음 날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다자무역 시스템’을 강조, 미국을 자극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 과정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부각되면서 양국 관계의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는 우려도 뒤따랐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미·중 정상회담으로 양국은 중고차캐피탈할부 서로의 전략적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시간을 번 것”이라며 “몇 달 간은 극단적인 상황을 피할 수는 있겠지만 양국 관계는 그 기간에만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금값 등락을 이끄는 정반대 소재들 간의 긴장이 팽팽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값의 조정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값은 여전히 올해 들어 50% 이 현대자동차성적 상 상승한 상태다. 로버트 레니 웨스트팩 은행 애널리스트는 “매파적 금리 인하, 미·중 무역전쟁 휴전, 금 상장지수펀드(ETF)의 대규모 자금 유출 등으로 조정 분위기가 강화되고 있다”라며 “금값이 온스당 3750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