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식량난 해소를 위해 분식(粉食)을 장려하고 있는 북한에서 ‘짜장면’이 새로운 인기 음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15일 “평양 창광음식점거리의 ‘짜장면집’이 손님들로 붐비고 있다”며 “최근 몇 년간 밀가루 음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전했다. 이 식당은 1985년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함께 방문한 평양의 대표적인 노포로 40년 가까운 역사를 지닌 곳이다. 매체에 따르면 이곳의 짜장면은 “맛과 향, 색깔 면 1금융 대출조건 에서 평양 내 다른 음식점보다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른 식당 요리사들이 직접 찾아와 조리법을 배우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식 짜장면은 한국식 짜장면과는 다른 맛이다. 한국 짜장면이 춘장과 캐러멜 소스를 이용한 단맛 중심의 걸쭉한 소스라면 북한의 짜장면은 된장을 중심으로 한 짭조름하고 구수한 맛이 특징이다. 복권 면은 밀가루뿐 아니라 감자·녹말·메밀 등을 함께 써 식감이 다채롭다. 식당 책임자 유금순 씨는 “최근 밀가루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손님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밝혔다. ◇ 김정은 “인민에게 밀가루 보장하라”···식량 대책으로 분식 확대
북한이 짜장면을 비롯한 밀가루 음식 소비를 적극 권장하는 것은 ‘식량난 완화’와 직결돼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1년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인민들에게 흰쌀과 밀가루를 보장함으로써 식생활을 문명하게 개선해 나갈 조건을 특이상황 마련해야 한다”고 지시한 바 있다.
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0년 양강도 대홍단군 시찰 당시 “감자 농사뿐 아니라 밀·보리 농사도 잘해 주민들이 짜장면을 많이 먹게 하라”고 지시했던 정책 기조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 러시아 밀 수입 확대·재배 증가로 ‘분식 자립’ 가속화 북 경희대금융권 한이 밀가루 음식 확대에 적극 나서는 배경에는 러시아와의 밀 교역 확대가 있다. 북러 관계가 밀착되면서 외부로부터 밀 반입이 용이해진 데다,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국내 재배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러시아는 2023년 4~5월 쿠즈바스 지역에서 생산한 밀가루 약 2550t을 북한에 수출했으며 이후 교류가 확대되면서 밀 공급량이 점차 늘고 있다. 이는 북한이 1960~70년대 한국이 미국 원조를 기반으로 추진한 ‘분식 장려 운동’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는 평가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밀 증산’ 지시가 내려진 지 4년이 지난 현재 일정 부분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전체 식량작물 생산량은 478만t으로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밀·보리 생산은 28만t으로 전년보다 6만t 증가했다. 이는 재배 면적이 19.3% 확대된 결과로 분석된다. 김여진 기자 aftershoc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