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릴게임 ♀ 예시 ♀┧ 40.rzz861.top ●아프리카 서사하라 지도 [제작 양진규]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아프리카 대륙 국가 수를 얘기하다 보면 두 갈래로 나뉜다. 유엔 승인 회원국은 54개국이지만 아프리카연합(AU) 회원국은 서사하라 독립운동 세력이 수립한 사하라아랍민주공화국을 포함해 55개국이다. 문제의 서사하라는 모로코 점령지다. 모로코는 2007년 이 지역을 모로코 자치 지역으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주한 모로코대사관은 지난 6월 기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왔다. 영국 외교부가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 자치안을 분쟁 해결의 가장 신뢰 가는 근거로 인정하고 정치적 협상을 촉구했다면서 이를 9월코픽스금리 기사화할 수 없느냐는 취지였다. 독도가 우리에게 중요하듯 모로코 입장에서는 서사하라가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국내에서 서사하라는 그다지 이슈가 되지 않아 당시 기사화하지 않았다. 앞서 3월 샤픽 하샤디 주한 모로코 대사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서사하라가 1975년 스페인 식민 통치에서 벗어날 당시 모로 신협 코 국민의 평화적 '녹색 행진'으로 확보한 땅이라고 말했다. 모로코 입장에서 보면 서사하라는 국제적으로 지지를 확보해야 하는 자국 영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웃 나라 알제리가 서사하라의 독립을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제리는 서사하라 독립운동 세력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1976년 세운 사하라 삼성자동차할부조건 아랍민주공화국을 지지한다. 모로코와 알제리는 오랫동안 라이벌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알제리는 서사하라 문제를 둘러싼 갈등 끝에 2021년 8월 모로코와 외교관계를 일방적으로 끊었다. 이슬람 국가인 모로코는 2020년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의 대가로 미국의 지지를 등에 업고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 영유권을 주택담보대출 준비서류 인정하는 국가 수를 늘려갔다. 모로코는 이스라엘과 군사 훈련을 같이하고 이스라엘 회사는 모로코에 드론 공장도 짓고 있다.
2016년 반기문 당시 유엔사무총장이 알제리의 서사하라 난민캠프방문한 데 대해 서사하라 '분리주의자' 편을 들고 있다고 항의하는 모 대전파산 로코인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알제리는 '원칙 있는 외교'를 표방하면서 서사하라 독립을 계속 지지하고 있다. 또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굳건히 지지하면서 이스라엘과 대립각을 세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아랍국가로서 국제 문제에 곧잘 개입하는 아랍에미리트(UAE)가 모로코와 관계를 강화하는 것도 알제리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알제리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땅덩어리가 가장 큰 나라이고 모로코는 유럽과 아프리카 간 대서양 관문을 자처한다. 알제리는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경제 규모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에 이어 아프리카 3위 국가다. 모로코는 대륙 내 자동차 생산 1, 2위를 다툰다. 알제리는 과거 식민 종주국인 프랑스가 모로코 입장을 지지하고 나서자 프랑스와도 사이가 틀어졌으나 서사하라 독립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알제리는 프랑스와 모든 안보 및 이주민 협력도 중단했다. 알제리에서 코트라 관장을 역임한 김명희 코트라 부사장은 "알제리는 프랑스와 싸워서 독립을 쟁취했다는 자긍심과 함께 자원이 많아 배타적인 면도 있다"면서 "같은 인접국인 튀니지에 대해서는 잘해주지만, 모로코에 대해선 서방과 야합해 개발했다는 시각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알제리와 모로코는 북서부 아프리카 이슬람 국가 연맹인 아랍마그레브연합(UMA·본부는 모로코 수도 라바트) 회원국이다. 하지만 두 나라가 서사하라를 놓고 다투는 바람에 역내 모임도 단합이 예전 같지 못하다.
2023년 5월 알제리 남서부 틴두푸에서 서사하라 독립을 위한 '폴리사리오 전선'의 무장투쟁 50주년을 맞아 행진하는 서사하라 출신 여성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모로코는 서사하라를 회원국으로 인정한 AU에서 1984년 탈퇴했다가 2017년 복귀해 아프리카 내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임기대 부산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장은 "1962년 프랑스 식민 지배에서 독립한 알제리는 그 이듬해 모로코와 '모래전쟁'이라는 영토분쟁을 벌일 정도였다"면서 "AU가 서사하라 독립을 지지한 것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해 아프리카 국가의 주권주의와 독립을 용인하는 분위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ungji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