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독 간호보조원 자격으로 1970년 독일로 향했지만, 병원에서 일하면서 따로 배운 적 없는 그림을 계속 그렸다. 이 그림을 계기로 미술을 배우기 시작했고, 독일에서 먼저 작가로 인정받았다. 미디어아트·퍼포먼스 작가 백남준과 요제프 보이스가 그를 알아봤다. 한국인 최초로 함부르크 국립조형예술대 교수로 임용됐고, 유서 깊은 알토나 성요한니스교회는 동양 출신 작가인 그에게 스테인드글라스 작업을 맡겼다. 화려한 이력이지만 재독화가 노은님(1946∼2022)은 여전히 한국에서는 낯선 이름이다.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이 노 저축은행 금리 은님의 3주기를 맞아 대규모 회고전 '빨간 새와 함께'를 열고 있다. 독일에서 그의 작품이 만개하던 1980∼90년대, 거대한 한지에 동양의 붓을 들고 먹 대신 아크릴과 유화 물감으로 그린 평면화 20여 점이 한자리에 모였다. 전시에 나온 모든 작품은 박명자 현대화랑 회장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이다. 박 회장은 "독일에 노은님이라는 그림 잘 생애첫주택자금대출 그리는 여자가 있다"는 백남준의 말을 듣고 1980년 '백남준-노은님 2인전' 전시를 열고 노은님의 작품을 처음 한국에 소개했다.
노은님의 1986년작 '두나무 잎사귀 사람들'. 위아래가 없는 작품이고, 물고기인지 잎사귀인지 사람인지 모를 형상을 그렸다. 권준성 노은님아 대구신용불량자 카이브 관장은 "노은님의 그림은 모두 자화상이고 생명이 순환한다는 불교의 윤회 사상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화랑 제공
전시 대표작인 '빨간 새와 함께'는 검은 사람과 붉은 새가 서로 끌어안고 위로하는 모습이다. 노은님은 무의식에 따라 그림을 그렸다. 억지로 꾸며냄 없이 큰 종이를 펼쳐 놓고 즉 채무불이행정보 흥적으로 붓질을 했다. 그리고 나서 작품을 들여다보고 새, 고양이, 물고기 등 생명체의 형상을 발견했다. 이미 그린 작품에 한참 뒤 추가로 그려넣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독일 예술계는 노은님만의 독창적인 작품에 대해 "동양의 명상과 서양의 표현주의가 만났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은 주로 1980년대 것이 많다. 작가가 대구현대스위스저축은행 독일 북쪽에 머물던 시절이라 음울한 기후를 반영하듯 어두운 색으로 그렸다. 권준성 노은님아카이브 관장은 "1980년대 그림을 보면 달이 많은데,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림에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비교적 따뜻한 독일 남부 소도시 미헬슈타트에 개인 작업실을 마련한 1990년대부터는 밝은 작품이 나온다. 미헬슈타트 시립미술관은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 4인 중 하나로 노은님을 꼽아 영구 전시를 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열리고 있는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빨간 새와 함께’에서 그의 대표작 '큰 물고기 하나'(왼쪽)와 '큰 물고기 식구들'이 전시돼 있다. 뉴시스
2022년 서울 종로구 평창동 가나아트갤러리에서 개인전이 열렸을 당시 자신의 작품 앞에 선 노은님 작가. 가나아트갤러리 제공
권 관장은 생전에 만났던 노은님이 "평생 그림을 그렸지만 팔려고 하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알려지는 덴 때가 있다"며 명성을 부담스러워했다고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이번 전시를 통해 노은님이 더 알려져 두 가지 오해를 바로잡고 싶다고 했다. "주사도 놓을 줄 모르는데 평생 간호사로 불렸고, 종이에 먹을 쓴 적이 없는데 먹그림으로 불렸다"는 것. 파독 간호사 출신이라는 표현은 평생을 작가로 살다 간 노은님 스스로도 꺼려한 표현이다. 배경 설명 없이 있는 그대로 자신의 작품을 보여주고 싶었던 작가의 마음이 읽힌다. 전시는 11월 23일까지.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