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넓은 평지에 하얀색 건물이 부채꼴로 자리 잡고 있다. 부드럽게 내리쬐는 햇볕 사이로 서늘한 바람이 불어와 뺨을 쓰다듬었다.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비즈니스를 지휘하는 전진기지 ‘각세종’이었다.
실시간으로 네이버 서비스와 이용자 데이터 축적이 이뤄지는 가운데, 서버가 가동되는 굉음과 로봇의 정교한 동선, 빈틈없이 이원화된 시스템이 마치 디지털 문명을 대변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27일 세종특별자치시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위치한 각세종에서 빅테크와 맞먹는 풀스택 AI 인프라 설계·운영 정부지원대출은행 이 가능한 네이버의 기술력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부터 가속기·데이터와 플랫폼까지 AI 워크로드를 갖춘 상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 시대를 이끌겠다는 목표다. 이상준 네이버클라우드 최고정보책임자(CIO)는 “AI 인프라의 경쟁력은 GPU를 얼마나 많이 가졌는지를 넘어 확보한 자원을 얼마나 안정적이 퇴직급여충당금 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에 달려 있다”라며 “네이버는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갖춘 만큼, 네이버클라우드는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각세종 관제센터. [네이버]
주택연금 네이버는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을 훼손 없이 지켜온 해인사 장경각의 정신과 사명을 계승해 데이터센터의 이름에 각(閣)을 붙이고 있다. 2013년 6월 오픈한 각춘천에 이어 2023년 11월 개관한 각세종 역시 마찬가지다.
각세종은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다. AI의 보편화로 정보의 처리량이 신용카드 한달연체 급증하면서 데이터센터 보유 여부가 정보기술(IT)기업의 우열을 가르는 요소가 되자, 네이버 서비스 데이터 보존소인 각춘천을 업그레이드했다. 그만큼 규모가 압도적이다. 각세종은 부지 면적만 29만4000㎡(약 8만9000평)에 달한다. 이는 국내 최대 크기로 축구장 41개와 비슷하다. 여기에 60만유닛(Unit)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다. 부산국제금융센터 위치 국립중앙도서관의 100만배 수준인 65엑사바이트(EB)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셈이다. 전력 공급량은 최대 270메가와트(㎿)가 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보유 중인 첨단 기술을 각세종 곳곳에 적용했다. 각세종은 그 어떤 상황에서도 작동을 멈추지 않는 데이터센터를 표방한다. 공상영화가 떠오르는 거대한 관제실에서 실시간으로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 환경을 모니터링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과거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때처럼 서비스 이용이 중단되고 데이터가 손실되는 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장치로 이중화를 선택했다.
각세종 서버실. [네이버]
전력·냉각·네트워크 운용 체계를 지상과 지하로 완전히 분리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통합 관리하는 구조로 재난·재해에 대비한다. 주요 선로가 말썽이더라도 예비 선로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심지어 모든 선로에 문제가 발생해도 백업 전력으로 72시간을 버틸 수 있다.
여기에 원자력발전소 수준인 규모 7과 진도 9를 견디는 특틍급 내진 설계도 적용됐다. 내부 화재는 물론 외부 화재에도 건물을 지켜낼 수 있는 소방 설비를 갖춰 소방차와 소방관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대응한다. 자연풍을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도 찾았다. AI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기를 필요로 한다. 올해 각세종의 전기료도 22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네이버는 서버실을 복층으로 건설해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자체 공조 시스템 나무(NAMU)로 전력 효율을 극대화했다. 외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냉각 코일을 통과시켜 온도를 낮추고 회전팬으로 빠르게 냉기를 퍼뜨리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네이버는 나무로 연간 에너지 절감률을 약 73%까지 끌어올렸다. 폐열은 버리지 않고 온수 생성과 바닥 난방에, 빗물은 냉각탑 보급수와 조경 용수로 쓴다. 덕분에 글로벌 친환경 건물 인증 제도인 LEED에서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할 수 있었다.
각세종 창고에서 자율운송·자산관리로봇 세로와 가로가 일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자율운송·자산관리로봇 가로와 세로도 눈에 띄었다. 가로는 서버실과 창고를 왕복하며 자산을 운반한다. 최대 400㎏까지 적재할 수 있다. 세로는 자산을 관리한다. 3m의 서버랙에 서버를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은 물론 서버별로 주어진 자산 번호를 인식하기에 자산 이동 추적과 재고 파악이 원활하다. 기자도 세로와 가로가 사람의 개입 없이도 협업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율주행셔틀인 알트비는 각세종의 거점을 연결하며 직원들의 이동을 돕는다.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장은 “각세종의 증설을 준비하고 있는데, 공기냉각과 액체냉각을 병행하는 등 여러 방식을 검토해 냉각 시스템을 보완·강화할 방침”이라며 “AI 인프라가 특정 기업의 자산이 아닌 산업 전반의 성장 기반이 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지원책도 요구했다.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급이 부족한 원인으로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중복 규제, 전문 인력 부족 등을 꼽았다. 노 센터장은 “정부가 전력 분산을 이유로 데이터센터를 지방으로 유인 중이나, 현실적으로 입지가 좋지 못해 인력 부족이라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며 “정부는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새로운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규제가 덧붙는 구조라 기업 입장에서는 여전히 진입장벽이 상당하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