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헬기의 예방착륙 횟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방착륙은 헬기 조종사가 비행을 계속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될 때 임의의 장소나 활주로에 착륙하는 일종의 비상착륙이다. 21일 육군본부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에게 제출한 ‘2020 ~2025년 육군 항공 전력 예방착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육군은 총 94회의 예방착륙을 실시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11회, 2021년 4회, 2022년 11회, 2023년 14회, 2024년 17회, 2025년 37회의 예방착륙이 발생했다. 올해 3 전문대 등록금 7회의 예방착륙은 지난해 17회에 비해 약 117%, 5년 전 4회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무려 825% 급증한 수치다.
육군 항공 예방(비상) 착륙 기종별 현황. 유용원 의원실 제공
기종별로는 500MD 34회, K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채용 UH-1(수리온) 26회, CH-47(시누크) 14회, UH-60(블랙호크) 9회, AH-1S(코브라) 5회 순이었다. 육군이 보유한 헬기 전력 중 비교적 최신기종에 속하는 KUH-1 수리온 헬기의 예방착륙 횟수가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도입 10년 차에 접어든 수리온 기종에서 비행 중 엔진 결함 주의등이나 발전기 루나파크사춘기직장인 계통 주의등이 켜지는 사례가 늘고 있어 수리온 초도 생산분에 대한 세심한 예방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육군의 예방착륙 중 가장 빈도가 높았던 사유는 500MD 기종의 ‘엔진 칩(ENG CHIP) 주의등 점등’으로 총 11회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육군 관계자는 ‘엔진 내부 오일계통에서 미세한 금속 입자가 감지된 것으로 농협 이율 엔진 내부가 마모되거나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KUH-1, AH-1S 등이 조류충돌로 인해 올해 4회의 예방착륙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육군의 헬기 예방착륙 횟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비행 중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노후 기종의 조속한 도태와 신규 전력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휴일야근수당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500MD와 AH-1S 코브라를 대체할 ‘소형무장헬기(LAH) 사업’은 현재 전력화가 진행 중이나, 전체 약 180대가 완전히 전력화되는 시점은 2031년경으로 예상된다. 또 ‘수리온 헬기 성능개량 사업’ 역시 올해 선행연구를 마친 뒤, 2029년경에나 본격적인 사업 착수가 가능할 전망이다. 따라서 육군은 앞으로 최소 5년에서 최대 20년까지 현재 보유한 노후 기체 일부를 계속 운용해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유용원 의원은 “예방착륙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우리 군의 안전의식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노후 헬기의 고장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로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지작사는 300여 대가 넘는 헬기를 운용하고 있는 만큼 각 항공부대에서는 예방정비 체계를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소형무장헬기 사업과 수리온 성능개량 사업 등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국방부의 각별한 사업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충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