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네(저기네)! 미국 대변인이 왔다 갔던 데가. 엊그제 여서(여기서) 화장품을 샀다카대.” 31일 오전 경북 경주시의 대표적인 ‘핫플’(핫플레이스·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황리단길 중심에 있는 올리브영 매장 앞에서 한 관광객이 말했다. 지난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펙) 정상회의 일정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보좌해 경주를 찾은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다녀간 매장이다. 레빗 대변인은 이곳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한 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기 카드캐피탈 념사진을 게시했다. 이 매장 직원들은 아펙 주간에 맞춰 댕기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매장 관계자는 “평소에도 외국인 손님이 많은 매장이라, 아펙 기간에 한국적인 분위기를 내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장식을 달았다”고 말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 범용공인인증서 대출 회의가 공식 개막한 31일 경북 경주 황리단길이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다. 최현수 기자 emd@hani.co.kr
황리단길은 아펙 정상회의 공식 일정이 시작된 이날 오전부터 사람들로 붐볐다. 외국인 관광객뿐만 아니라 주말을 앞두고 내국인 관광객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기념품과 간식거리를 두 손 가득 든 갤럭시s통신요금 아펙 참가자와 외신 기자들도 상당수 보였다. 좁은 도로에는 빛가림을 짙게 한 창에 아펙 관련 안내문을 붙이거나 중국, 말레이시아 등 외국 국기를 단 리무진 차량이 수시로 오갔다. 황리단길과 대릉원은 평소에도 가을 나들이 장소로 인기 있는 곳이다. 추석 연휴 이후로 관광객은 꾸준히 증가했다고 한다. 황리단길의 한 디저트 가게는 평소보다 많 사해행위 은 물량을 준비해 손님을 맞고 있다. 이 가게 직원은 “평일인데도 외국인 손님이 곱절 이상 많이 왔다”고 했다. 다만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방한 등 아펙 공식 일정이 본격화하면서 경주의 주요 도로가 수시로 통제된 탓에 황리단길을 찾는 관광객이 대폭 늘진 않았다고 한다. 소상공인들은 아펙 이후 ‘특수’를 기대한다. 황리단길의 우리은행 마이너스통장 서류 한 식당 사장은 “오히려 지난주에 손님이 훨씬 더 많았는데, 통제 영향 때문인지 아펙 주간이 시작되면서는 조금 줄었다”며 “아펙 공식 일정이 끝난 뒤 경비가 풀리고 통제가 해제되고 나면 진짜 ‘특수’가 시작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31일 오후 경북 경주 황리단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최현수 기자 emd@hani.co.kr
황리단길에서 5년째 한복대여점을 운영하는 이규정(54)씨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예전에는 막연하게 한복을 입고 싶어 했는데, 요즘은 ‘신라시대 옷을 입고 싶다’고 콕 집어 이야기한다”고 말했다. 이씨의 매장에는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데몬헌터스(케데헌)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갓도 있다. 이씨는 “외국인분들이 갓을 써보고는 모자처럼 머리를 쏙 넣어야 하는 줄 알고 ‘제 머리가 너무 큰가요?’하고 실망하는데, 머리에 얹어서 써야 한다고 설명하면 한참 웃는다”며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훨씬 더 커지고 섬세해졌다는 걸 느낀다”고 했다. 그는 “코로나19 대유행을 지나면서 어려움이 많았다. 아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뒤 더 많은 관광객이 경주를 찾아와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김상무(52)씨도 “최근 편의점에서 한국문화를 체험하려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다. 매운 볶음면도 치즈를 넣어 잘 드시고, 유행하는 편의점 음식 조합을 미리 숙지해서 즐기는 분들을 보면 새삼 한류의 영향이 커졌다고 느낀다”며 “아펙 이후 우리나라 위상이 높아지면 경주도 더 좋아질 거라 기대한다”고 했다. 경주시는 한국관광데이터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일부터 27일까지 경주를 방문한 외지인은 478만9637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75만5133명보다 27.5%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외국인은 14만1689명으로 지난해 11만6225명보다 2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리단길과 대릉원을 찾은 관광객은 99만6075명으로 지난해 76만8176명보다 29.7% 늘어났다. 주성미 기자 smoo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