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연합뉴스) 특별취재단 = 이재명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첫날인 31일 숨 가쁜 다자·양자외교 일정을 소화하는 동시에 경제 행보에도 박차를 가했다. 'AI 세계 3대 강국'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엔비디아라는 우군을 추가 확보했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는 한국 경제의 회복 흐름을 확인받았다. APEC 정상회 펀드 주식 의에서 한국 외교의 위상 강화와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 도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목표를 향해 발걸음을 재촉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엔비디아는 이 대통령 임기 내 한국에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산와 26만 장을 공급하기로 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따르면 젠슨 황은 "기존에 한국이 보유한 GPU 3만여 장을 포함해 대략 30만장이면 미국·중국에 이어 보유량 세계 3위"라고 말했다고 한다. AI 개발·구동에 필요한 핵심 자산인 GPU를 다수 확보함으로써 AI를 한국의 미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전략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한도조회 의 토대를 다지는 데 성공한 것이다. 앞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챗GPT 개발사 오픈AI,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약속받은 데 이어 다시 한번 대표적인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우군으로 끌어들인 것이기도 하다.
엔비디아, 정 직장인딴짓1위 부ㆍ민간기업과 AI 관련 협약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접견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현대차, 엔비디아의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 협약 관련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폐차 , 이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2025.10.31 superdoo82@yna.co.kr
엔비디아와 한국은 AI 혁명의 다음 단계로 지목되는 '피지컬 AI' 선점에 협력하자는 방향으로도 의기투합했다. 젠슨 황은 "한국은 제조 역량과 소프트웨어를 두루 갖춘 나라"라며 "제조업 AI의 리더가 될 가능성이 무한대(Sky is the limit)"라고 말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고 말하기도 했다. '모두를 위한 AI', 'AI 기본사회' 등 의제를 앞세워 글로벌 AI 개발 경쟁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도 부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대통령, IMF총재 접견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접견하고 있다. 2025.10.31 superdoo82@yna.co.kr
이 대통령은 이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를 만나 코스피 지수가 4,000 포인트를 돌파하는 등 한국 경제가 침체를 딛고 활성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게오르기에바 총재도 "여러 지표로 볼 때 한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으며, 이런 흐름이 이어져 내년에는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반등할 것"이란 예상을 내놨다. 투자처로서 한국 시장의 매력을 알려 더 많은 자금을 유치함으로써 공약인 '코스피 5,000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세일즈 활동에 나선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와의 오찬 행사에서도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를 만들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정비하고 미래 산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APEC 세션1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주석 대화 (경주=연합뉴스) 특별취재단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1세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2025.10.31 photo@yna.co.kr
이 대통령은 APEC 의장국 지도자로서 본회의 논의를 이끌어가는 동시에 참석자들과의 정상 외교도 이어갔다. 이날 첫 일정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APEC 정상회의 참석자들을 직접 영접했고, 제1세션 회의를 주재하며 격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협력과 연대 정신에 기반해 공동 번영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중 경쟁과 맞물린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및 공급망 위기, 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한 세력권 갈등의 점화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의 가치를 옹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와 만나 양국 관계를 더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등과도 양자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고동욱 황윤기 기자) sncwoo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