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표단이 참가하지 않는 기후총회 협상에서 브릭스(BRICS) 국가들의 영향력이 커질 경우 국제사회가 보다 강한 기후대응책에 합의하기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기후총회를 앞두고 열린 정상급회의에서 지구 평균온도 1.5도 상승 억제의 실패는 “도덕적 실패이자 치명적인 태만”이라고 경고했다. 아사히신문은 3일 앞으로 다가온 제30차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30) 협상의 파워밸런스가 변화하는 가운데 세계 각국이 협조해 기후대응 강화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채용 향한 길이 열릴지 예단을 불허하는 상황이라고 6일 보도했다. 제30차 당사국총회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10일부터 21일 사이 브라질의 아마존 열대우림 인근 도시인 벨렝에서 개최된다. 아사히는 특히 이번 당사국총회에 미국이 대표단을 보내지 않으면서 국제 기후리더십에서 브릭스의 영향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앞서 미 백악관은 지난 직장인을위한대출 1일 당사국총회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11개국으로 이뤄진 브릭스 전체의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의 53.4%에 달한다. 탄소배출량 세계 1위인 중국, 3위인 인도 등은 특히 브릭스 국가 중에서도 기후협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나라들이다. CNN도 미국의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 공공구매종합정보망 에서 탄소배출량 세계 1위인 중국이 이번 회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유럽연합(EU)도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EU에서는 국가별 배출량을 놓고 내부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탄소중립에 가장 적극적인 EU는 아직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도 유엔에 제출하지 못한 상태다. 2015년 제 금융소외계층 21차 당사국총회에서 전 지구 지표면 평균온도 상승폭의 1.5도 제한이라는 인류 공통 목표를 세울 때 큰 역할을 했던 미국과 달리 브릭스 국가들은 앞으로도 화석연료 사용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브릭스 국가들은 지난 7월 화석연료와 관련해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앞으로도 에너지믹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인정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뱅크론 또 세계 각국이 유엔에 제출해야 하는 NDC에 대해서도 어디까지나 “자국의 결정”일뿐 타국의 간섭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DC 강화, 즉 국가별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확대하는 것은 이번 당사국총회에서는 물론 앞으로의 기후협상에서도 중요한 쟁점 중 하나다. 기후외교 전문가인 우에노 타카히로 전력중앙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아사히와 인터뷰에서 “당사국총회에서 브릭스 중심의 논의가 이뤄지면, NDC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국의 NDC가 그대로 실현되어도 2015년 파리 당사국총회에서 정한 1.5도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후협상에서 브릭스의 대두는 전 세계 기후대응의 속도를 늦추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이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협력을 구축하려는 노력에 공격을 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트럼프는 문자 그대로 인류를 적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트럼프와 석유산업 로비스트들에 대해 “그들은 생명을 적대하고 있으며, 이는 부도덕한 일이다. 이들은 인간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오른쪽)이 6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지도자 기후행동회의에 참석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손을 잡고 들어올리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현재 브라질 벨렝에서는 당사국총회를 앞두고 6일(현지시간)부터 7일 사이 영국 총리와 프랑스 대통령, 중국 부총리 등 50개국 정상과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하는 세계 지도자 기후행동회의가 개최 중이다. 가디언은 이 회의에서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국제사회가 1.5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도덕적 실패이자 치명적 태만”이라면서 1.5도는 넘어서는 안 되는 레드라인이라고 경고했다고 전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또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당사국총회에서는 최대 쟁점으로 기후위기 적응이 꼽히고 있다. 아사히는 개최국인 브라질이 중시하는 의제가 이상 기상 등의 영향에 대한 적응책이라고 전했다. 기후변화 대책은 온실가스 감축 등 완화와 더위에 강한 농작물 개발·방재대책 강화 등 피해를 줄이려는 적응의 양대 축으로 이뤄져 있다. 완화 대책에는 온실가스 감축량이라는 전 세계 공통의 지표가 마련돼 있지만 적응 분야에는 아직 공통 지표가 없는 상황으로, 현재 100여개 지표가 후보로 제시돼 있다. 아사히는 이번 COP에서 적응 관련 지표에 대해 합의가 이뤄지면, 기후적응의 진척 정도를 측정하는 세계 공통의 잣대가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각국의 대처 상황을 검증하고, 새로운 대책을 향한 공통의 토대가 되는 지표를 합의할 수 있을지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상 기상과 재난 등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적응 대책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데, 이 자금을 어떻게 충당할지도 중요한 협상 내용 중 하나다. 지난해 제29차 당사국총회에서 국제사회는 2035년까지 개발도상국에 지원하기 위한 기후재원을 1조3000억달러(약 1893조9700억원)로 확대하는 내용을 합의한 바 있다. 이 막대한 기후재원을 어떤 주체가 얼마큼 내놓을지에 대한 로드맵 마련이 최대 쟁점인 것이다. 개발도상국들은 역사적으로 기후변화에 책임이 큰 선진국들이 더 많은 금액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무상 원조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사이먼 스틸 UNFCCC 사무국장은 지난달 “이 로드맵이 제30차 당사국총회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