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이치 트리엔날레'에 전시된 유리작가 사사키 루이의 설치작품 '잊히지 않는 존재' ⓒ 뉴스1
(하코다테=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아이치현 나고야의 한 구도심 골목, 문 닫은 공중목욕탕 안에 기묘한 정원이 생겼다. 탕이 있던 자리에 세워진 투명한 유리판 속엔 빛을 잃은 식물과 잿빛 기포가 떠다닌다. 푸른빛 전세자금대출상담 조명이 스며들며 마치 유리 속에서 꽃이 피어나는 듯하지만, 그 안의 생명은 이미 '죽은 기록'이다. 일본 유리 작가 사사키 루이(Sasaki Rui)의 설치작품 '잊히지 않는 존재'(Unforgettable Residues)이다. 이 작품은 지난 10월까지 열렸던 '아이치 트리엔날레 2025'의 대표 전시로, 인간이 남긴 산업의 흔적과 훼 한은행대출 손된 자연의 파편을 한 공간에 담았다. 작가는 유리 속에 토착 식물의 잔해와 재, 미세먼지를 함께 넣어 형체를 남겼다. 유리라는 제재에 생태계의 과거와 현재, 인간 문명과 함께 진화한 생물의 모습을 담았다는 게 작가 설명이다. 예술 평론지 '더 아트 뉴스페이퍼'는 사사키 루이의 작품이 "일본 산업사회의 마지막 호흡을 유리 안에 가뒀다"고 서울대 대학원 평가하며 "전쟁과 환경 붕괴의 기억을 동시에 재구성한 시도"라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던 패전·추축국에서, 일본이 어떻게 산업을 성장시켰고, 어찌 기후 위기를 맞게 됐는지 돌아보게 했다는 평가다.
일본 '아이치 트리엔날레'에 전시된 유리작가 사사키 루 우리은행 개인사업자 이의 설치작품 '잊히지 않는 존재' ⓒ 뉴스1
패전국으로서 재건의 신화를 쌓았던 일본은, 산업화의 속도를 유지한 대가로 토양오염과 산림 훼손, 해양 폐기물 등 복합적 환경 위기를 안게 됐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일본의 주요 자연 해변 중 상당 부분이 사라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 카드연체기준 났다. 케이도 우도 도호쿠대 교수팀이 일본의 77개 해안 구역을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 영향과 침식 등을 모형화한 결과, 2081~2100년 '고배출 시나리오'(RCP 8.5)에서는 해변 면적의 약 83%가 손실될 수 있다. 또한 해안선 변화·침식과 연관해 자연 해변의 30~60%가 사라질 수 있다는 추정도 있다. 일본이 군도 국가이고, 많은 도시·인프라가 해안선 인접 형태로 형성돼 있다는 점에서 이런 변화는 단순히 경관 변화에 그치지 않고 인구·경제·사회적 리스크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우려를 안고, 사사키 루이는 '성장의 흔적이 남긴 잔해'를 시각화했다. 유리 속 식물은 더 이상 살아 있지 않지만, 인간이 만들어낸 문명의 매체 속에서 오히려 새로운 형태로 보존된다. 자연이 인간 기술에 종속돼 박제되는 아이러니한 풍경이다. 작품이 설치된 장소 역시 상징적이다. 폐업한 공중목욕탕은 산업화 이후 도시 생활의 상징이자, 공동체의 해체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작가는 이곳을 다시 열어 자연의 흔적을 전시함으로써 정화의 장소였던 목욕탕을 '기억의 납골당'으로 바꿨다. 일부 일본 예술 작가들은 이런 방식으로, 일본의 기후대응을 간접적으로 지적했다. 작가는 말없이 질문을 던진다. 자연은 인간의 기술 안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아니면 유리 속 잔재로만 남을까. 식물이 피어오르던 탕 안의 유리꽃은 결국, 인간 문명의 미래를 비추는 투명한 묘비처럼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