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이 끝나고 중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진입 제한, 이른바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한한령이라는 규정에서 벗어나 “문화산업적 관점으로 보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3일 주중 한국대사관 정례 브리핑 뒤 이어진 백프리핑에서 이 당국자는 “‘한한령’이라고 부르면 중국의 입지가 좁아지게 된다. 중국 쪽에서 ‘한한령은 없다’는 대답이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뒤 이어진 중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진입 제한 등 비공식 조처를 ‘한한령’이라고 부르지만, 중 연체정보공유 국 당국이 이를 부인하고 있는 점을 설명한 것이다. 당국자는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바라보지 말고 문화산업적 관점에서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인적·문화 교류 활성화라는 큰 원칙에 공감을 이룬만큼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이 되는 방안을 고민할 거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정상회담 뒤 오션월드할인이벤트 기념 만찬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대화하며 중국 내 한국 가수 콘서트 개최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보였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이에 대해선 “시 주석은 정상회담을 비롯해 여러차례 문화 교류 확대에 공감하는 입장을 보였지만, 구체적인 논의가 오가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중 정상회담 뒤 우호적 분위기가 형성됐지만 혐중 시위 등 ‘부정적 측면’의 관리가 일본 주택가격 절실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당국자는 “정상회담 이후 양국 국민 간 우호 정서가 없는 상황에서는 어떤 정책을 수행하고 이행하기 어려워진다”며 “한·중 관계가 긍정적 방향으로 전환하려고 할 때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부정척 측면을 관리하고, 우호 정서를 증진하기 위해 상호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례 브리핑에는 노재헌 주중국대사가 처음으로 새로운주택담보대출 참석했다. 노 대사는 지난달 17일 부임 직후 시진핑 주석의 11년 만의 국빈 방한 등 일정을 소화했다. 그는 ‘한·중 관계의 전면적 복원’이라는 성과를 짚으며 정상회담이 “양국 발전을 위한 신뢰를 만드는 중요한 기회”였다고 말했다. 회담에 배석했던 노 대사는 “두 정상이 지방 지도자로 성장한 경험 등을 나누며 친밀감과 유대감을 강조하는 회담 분위기가 조성 세이빙론 됐다”며 “역사적이고 성공적인 정상 간 만남의 순간도 중요하지만, 희망을 봤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베이징/이정연 특파원 xingx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