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경북 구미시 구미역사 맞은편. 농심과 구미시가 주최한 '2025 구미라면축제'에 참가한 최수인(26)씨는 "지난해 행사가 워낙 잘 됐다고 듣고서 도전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구미 시내에서 도시락 가게를 하는 그와 직원들은 쏟아진 주문에 고개를 들 틈도 없었다. 코스닥유망주 그는 맛있으면서도 빨리 만들 수 있는 라면을 고심한 끝에 4개 후보 중 낙점한 '우삼겹 얼큰순두부라면'으로 도전했다. 판매 가격이 9,000원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심사 항목이라 원 재료 가격도 고민해야 했다. 이날 오후 2시 축제 시작 한 시간 만에 하루 1,000인분씩 준비한 물량 중 5분의 1이 팔렸다. 2022년 시작해 올해경동제약 주식 4회를 맞는 이 축제는 475m 도로에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 레스토랑' 콘셉트로 차려졌다. 역사는 짧지만 인근 농심 공장에서 갓 튀긴 라면을 살 수 있고 다양한 라면을 맛볼 수 있어 단숨에 '핫'한 축제로 성장했다. 2024년에 17만 명이 다녀갔고 이 중 48%가 구미 바깥에서 찾아왔다. 지난해만 15억 원 규모의 소비 창출 효과를 거두는 등 지역 갤럭시S2증권사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외국인도 'K푸드' 라면 요리사 경연
7일 경북 구미시에서 열린 '2025 구미라면축제'에서 열린 요리 경연 '글로벌 라면요리왕' 참가자 및 심사 위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구미=안아릴게임야마토 람 기자
참여 열기도 뜨거워졌다. 외국인 참가자들의 요리 경연 '글로벌 라면 요리왕'에서 국밥 육수를 접목한 라면으로 우승한 중국계 미국인 데이비드 리의 아내는 "대구에 살고 있다"며 "지인이 라면을 좋아하는 남편에게 참가를 권유해서 왔다"고 말했다. 두 아들을 데리고 온 김모(3가상주식투자 5)씨는 "첫째 아들이 라면을 좋아해 지난해에도 왔는데 사람이 너무 많아 보고만 갔다"고 했다. 그는 "먹을 수 있는 공간이 많아졌고 주문도 모바일로 할 수 있어 기다리는 시간이 줄었다"면서 "새로운 라면을 맛보며 축제 분위기를 즐길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엄마와 한 그릇을 나눠 먹은 첫째는 두 번째로 자신이 꼽은 '통오징어 해물 라면'을 맛보느라 고개를 들지 않았다.
골목마다 시식장소... 메인 도로 혼잡 피해
7일부터 사흘 동안 경북 구미시에서 열린 '2025 구미라면축제'에서 주최 측이 메인 도로 옆 골목에 마련한 라면 시식 장소. 구미=안아람 기자
축제 현장 여기저기에서 QR코드를 통해 주문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메인 거리 옆 골목 곳곳에 라면 먹는 공간을 확보해 메인 거리도 복잡하지 않았고 잔반 및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레시존'을 설치해 청결에도 신경을 썼다. 농심은 해외 시장을 겨냥해 최근 선보인 '신라면 김치볶음면'과 프리미엄형 '신라면 블랙'을 맛볼 수 있게 했다. 2년 걸려 만든 김치볶음면은 단맛과 매운맛을 조합한 '스와이시(Swicy·Sweet+Spicy)' 트렌드를 반영했다. 개발에 참여한 스프개발3팀의 오은지 책임은 "글로벌 브랜드인 신라면의 면과 한국의 맛으로 알려진 김치, 그리고 고소한 참기름을 더했다"며 "맛있는 김치의 맛이 이 제품의 킥"이라고 설명했다. 농심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협업한 제품 이미지를 입구에 놓아뒀고 신라면과 짜파게티 등 농심 구미공장에서 갓 튀긴 라면 꾸러미를 팔았다.
농심, 신제품 신라면 김치볶음면 시식도
7일부터 사흘 동안 경북 구미시에서 열린 '2025 구미라면축제'에서 농심은 최근 출시한 '신라면 김치볶음면'을 시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구미=안아람 기자
이 축제의 뿌리는 구미역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농심 구미공장이다. 1991년 가동해 1999년 신공장으로 바뀌었고 이후 인공지능(AI)과 로봇까지 더해지며 스마트 팩토리로 탈바꿈했다. 국내 신라면 생산량의 약 75%를 담당하는 핵심 거점으로 고속 라인에서 분당 600개, 하루에 600만 개를 만든다. 대구·경북 사람들이 하루에 하나씩 먹을 수 있는 규모다. AI 기반 검사 시스템 등으로 제품 중량이나 포장 등을 검수해 현장에선 직원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축제의 성공 요인으로 ①갓 튀긴 라면 ②도심 속 축제 ③신선하고 이색적 명품 미식 축제라는 점을 꼽았다. 그는 "낙후된 지역 역 앞의 썰렁한 구도심을 살리려는 기획 의도가 맞아떨어졌다"면서 "인근 카페와 국숫집, 전통시장 상인들에게도 온기를 불어넣게 됐다"고 설명했다.
경북 구미시 농심 구미공장 관계자들이 7일 라면 생산 공정을 지켜보고 있다. 구미=안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