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각)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벨렝/신화 연합뉴스
“기후 부정론과 가짜뉴스에 맞서야 합니다.” 10일(현지시각)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결연한 표정으로 목소리를 높였다. 브라질 벨렝 기후총회장 내 각국 대표들이 의장국 정상의 연설에 환호와 박수로 화답했다. 룰라 대통령은 이날 ‘아마존의 관문’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개막 연설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했다. 그2010주식 가 파리협정이라는, 다자주의 기후체제의 근간을 흔든다는 것이다. 미국은 올 초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하고 이번 총회에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룰라 대통령은 “허위정보 시대에 과학을 부정하는 이들은 다자주의의 진보도 거부한다. 파리협정이 없었다면 세계는 금세기 말 거의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기온이) 5도가 상승하는 재앙적 온난화에 처했을온라인릴게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속도가 문제다. 지금처럼 가면 지구 기온이 (파리협정의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상 상승하게 된다. 이는 감수할 수 없는 위험”이라고 했다. 숙연했던 총회장 곳곳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파리협정 10년을 맞는, 서른번째 세계 기후총회의 시작이었다. 섬유주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 행사장이 경찰과 참가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제30차 유엔 기후CJ E&M 주식 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 행사장에서 참가자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날 행사장 안팎엔 경비가 삼엄했다. 벨렝 도시공원 입구엔 장갑차가 배치됐고 곳곳에 무장 군인의 모습이 보였다. 전세계 190개국 5만명이 참석하는 총회장은 인산인해였다. 개막최신 릴게임 식이 열린 오전 10시 전후 비표를 받기 위한 줄이 길게 늘어섰고 입장에 1시간 이상 소요되기도 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인증한 각국 대표단과 공인 단체 부스가 늘어선 ‘블루존’에선 각국의 기후정책 홍보가 치열했다. 개최국 브라질은 100개가 넘는 나무 기둥에 녹색과 노란색 천으로 장식한 대형 부스를 차려 이목을 끌었다. 총회장 곳곳에 아마존 열대식물이 배치됐는데, 브라질 부스 관계자는 “이번 총회 주요 의제인 ‘숲 보호·복원’의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미국을 대체한, ‘기후 리더십’으로 부상한 중국은 가장 큰 규모의 부스를 꾸렸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약 25%)하는 중국은, 지난해 자국에 370기가와트(GW) 이상의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했고 전세계 친환경차(전기차)의 70%를 생산한다며 ‘그린 정책’을 홍보했다.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에 마련된 ‘블루존’의 브라질 홍보 부스 모습.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에 마련된 ‘블루존’의 중국 홍보 부스에 기념품을 받기 위한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제르바이잔 등 산유국들 부스는 화려했다. 사우디는 자국 기후정책 홍보 공간 대신 미팅룸을 만들어 타국 대표단과 비공개회의를 열었다. 지난해 기후총회 개최국인 아제르바이잔은 작년 의제이자 성과였던 ‘기후금융 기준 마련’과 탄소포집저장(CCUS) 기술 등을 홍보했다. 우리나라도 한국관에서 새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알렸다. 한국관에선 ‘케이팝데몬헌터스’의 캐릭터 부채를 나눠 주며 호응을 얻었는데, 2028년 33차 기후총회 유치를 희망하는 제주도와, 대한상공회의소, 경희대학교, 기후단체 기후솔루션 등이 관련 발표회를 연다.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에 마련된 ‘블루존’의 사우디아라비아 홍보 부스 모습.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막한 10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 도시공원에 마련된 한국관에서 참가자들이 한복 입기 체험을 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주최 쪽의 미흡한 행사 준비에 대한 문제도 지적됐다. 총회장 전력을 경유 발전기로 공급했는데, 기후총회에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축구장 22개 규모 16만m² 블루존을 운영하려면 하루 약 13만리터의 경유가 필요한데, 경유는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연료다. ‘숲 보호’ 기후총회의 의미를 강조하려 행사장 전체를 화려하게 휘감은 원목 장식품도 총회 취지와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현장에서 만난 브라질의 환경운동가 왈레스카 케이로스는 “전세계 탄소 감축 합의를 이끌어야 할 브라질 정부가 석유 시추를 승인하는가 하면, 숲 보호를 주장하면서 과도한 나무 장식물로 부스를 꾸미는 모순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벨렝/글·사진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