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앞두고 코스피 사상 처음 3,500 돌파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 3,500선을 돌파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인 3.549.21로 마감한 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025.10.2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지난주 원/달러 평균 환율이 약 넉 달 반 만에 다시 1,400원대로 올라섰다. 달러 강세와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불확실성 등이 환율을 끌어올렸다. 추석 연휴로 서울 외환시장이 9일까지 휴장하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환율이 1,400원대 부근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창업진흥원 채용 4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 2일 1,407.0원에 야간 거래를 마쳤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주 평균환율은 1,403.33원으로, 지난 5월 12∼16일(주간 평균 환율 1,405.86) 이후 약 넉 달 반 만에 1,400원대로 복귀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4일 1,400원 무료심리상담 , 25일 1,410원 선을 연이어 넘어선 데 이어, 지난주에도 4거래일 내내 야간 거래 종가가 1,400원대를 기록했다. 최근 환율이 1,400원대로 오른 데는 달러 강세와 3천500억달러 규모 대미투자 협상 불확실성이 함께 작용했다.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속에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500선을 뚫었지만 환율은 고공 경기신용보증기금 행진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9월 하순 대외변수로 달러가 광범위하게 상승했고, 부분적으로 한국의 3천500억달러 대미투자 불확실성도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국 2분기 성장률 호조, 유럽 안보 우려 등에 지난달 중순 96대까지 떨어졌던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말 98대까지 올랐다. 다만 미국 연방 sk저축은행 정부 셧다운 등 여파에 지난주에는 97대를 기록했다. 3천500억달러 대미투자 방법을 두고 한미 통상협상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원화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3천500억달러 대미투자 문제가 원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대미투자 관련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되지 않고 중소기업창업지원센터 있고 통화스와프도 불투명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측에서 대미투자 관련 긍정적인 회신이 오기 전까지 원화 강세 전환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도 "전반적인 대내외 여건상 1,400원대 환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코스피 지수 최고치, 9월 수출 호조,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등에 따른 미국 경기 둔화 우려 등 환율 하락 요인이 산재해있었지만, 여전히 교착상태인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환율 하락을 제약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지난주 발표된 한미 환율협상 결과는 시장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평가됐다.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는 지난 1일 환율은 기본적으로 시장에 맡긴다는 내용의 기본원칙을 재확인하는 환율정책 합의문을 발표했다. 이민혁 이코노미스트는 "환율 협의는 원론적인 수준에 그쳤고, 이미 지난 4월부터 논의돼왔었기 때문에, 환율에 미친 영향이 미미했다"고 밝혔다. 추석 연휴로 서울 외환시장이 장기간 휴장하는 가운데, 연휴 기간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지속 여부와 한미 통상협상 타결 여부 등이 꼽힌다. 미국 예산안을 둘러싼 여야 대치 속에 미국 연방정부는 지난 1일부터 '셧다운'에 들어갔다. 셧다운 여파로 미국 경제지표 발표가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고, 셧다운이 장기화하면 미국 성장 둔화 우려가 커질 수도 있다. 만약 연휴 기간 한미 통상협상 진척이 생길 경우 원/달러 환율에는 하락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미투자 관련 양해각서(MOU)에 서명하는 것을 목표로, 미국 측에 MOU 수정안을 보내놓고 구체적인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이 외에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 차기 연준 의장 후보 관련 소식 등도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다.
연휴 앞두고 코스피 사상 처음 3,500 돌파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 3,500선을 돌파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인 3.549.21로 마감한 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025.10.2 ondol@yna.co.kr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환율이 1,400원대를 중심으로 등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한미 관세 협상이 10월 말 긍정적으로 타결될 것이라는 일부 시각에 따라 환율도 1,400원선을 하회할 수 있지만, 우리 측 입장 반영 여부에 따라 협상 관련 불확실성은 연말까지도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현재 글로벌 관점에서 달러인덱스가 소폭 약세여도, 원화에는 상대적인 강세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며 하반기 환율 전망치로 1,385∼1,410원을 제시했다. 이낙원 FX파생전문위원도 "대미투자가 통화스와프 체결, 장기간 분할 투자로 합의되지 않는 이상 1,400원 부근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민혁 이코노미스트 역시 "한미 관세 불확실성으로 당분간 1,400원을 중심으로 제한된 흐름이 나타나다가, 월말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협상 윤곽이 나오면 환율도 방향성을 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월말 협상 진전과 달러 약세가 맞물리면 4분기 환율 범위는 1,350∼1,420원 수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석현 이코노미스트는 환율이 1,400원 아래로 내리면서, 4분기 평균 환율이 1,385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10월 말 미·중 정상회담이 위험자산에 순풍이 될 수 있고, 한미도 합의를 추구하고 있다"며 "10월 초 차기 연준 의장 후보 공식 면접을 마치면 차기 의장의 존재감이 부각되면서 달러가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연말 원/달러 환율 종가로 1,420원을 제시했다. 민 연구원은 "구조적인 수급환경 변화 때문에 외환시장에서 달러 실수요가 크게 늘었고 수출업체 매도세가 부재한 탓에 상승압력 확대 부담이 커졌다"며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 국내 내수 부진 장기화 가능성은 원화 약세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ss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