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1일 사전 배포한 국군의 날 행사 진행계획 제목은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행사 주요 시나리오’ 였다.
대통령실이 1일 사전 배포한 이재명 대통령 기념사 제목은 `제77주년 국군의 날 기념사(안)’이다. 대통령실 제공
1일 ‘국군의 날’을 맞아 대통령실과 국방부가 kcb무료신용조회 각각 기자들에게 사전 배포한 자료를 보면 작지만 큰 차이가 있다. 이날 대통령실이 사전 배포한 이재명 대통령 기념사 제목은 `제77주년 국군의 날 기념사(안)’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 첫 머리를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자랑스러운 국군 장병 여러분, <제77주년 국군의 날>을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합니다”라고 시작했다. 합자회사 정관 이와 달리 이날 국방부가 사전 배포한 국군의 날 행사 진행계획 제목은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행사 주요 시나리오’ 였다. 국방부가 만든 국군의 날 행사 관련 각종 홍보물에도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이라고 적혀 있다. 왜 대통령실은 국방부와 달리 ‘건군’을 빼고 `제77주년 국군의 날’이란 표현을 사용했을까. 해답은 아프로캐피탈 이재명 대통령 기념사에 있다. “오늘은 77번째 국군의 날이지만, 우리 군의 역사는 그 이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맞서 싸웠던 독립군과 광복군이 바로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이자 근간입니다. 우리 독립군과 광복군은 유린당한 나라를 되찾는 데 앞장섰고, 마침내 연합군과 함께 광복을 이뤄내는 주역이 되었습니다. 우리 군의 뿌리인 새마을금고학자금대출신청 독립군과 광복군의 피어린 투쟁이 없었다면 빛나는 광복 80주년의 역사와 그동안 이룬 눈부신 성취는 전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주권을 되찾고, 국민을 지켜내기 위해 목숨 걸고 싸웠던 구국의 정신이 바로 우리 국군이 반드시 기억하고 지켜야 할 고귀한 사명이라는 점을 단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 대통령의 기념사에서 `건군‘이란 단어가 원금균등분할 빠진 것은 “독립군과 광복군이 바로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이자 근간”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이날 행사명이 ‘제77주년 국군의 날’인데 비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있던 지난해는 ‘건군 76주년 국군의 날’이었다. 문재인 정부 때 국방부는 “대한제국군→의병→독립군→광복군이 국군의 뿌리”라고 강조했으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방부는 1946년 1월 미군정에 의해 경찰예비대로 창설된 국방경비대를 국군의 뿌리로 인식하는 듯한 태도를 취했다.
국방부가 만든 올해 국군의 날 행사 관련 각종 홍보물에는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이라 적혀 있다. 국방부 제공
국군의 날을 앞둔 지난해 9월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은 ‘국군의 정통성, 어디에 둘 것인가’ 학술회의에서 ‘건군 76주년’ 표현에 대해 “1948년 8월 정부 수립 시점을 국군의 기원으로 삼는 데서 비롯한다. 국군의 날을 맞아 건군 76주년이라고 표현하면 일제강점기에 선각자들이 벌인 독립전쟁 역사를 외면하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건군 76주년 표현은 대한민국이 1948년에 건국됐다는 주장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 전문과 어긋난다는 것이다. 박 전 원장은 “문재인 정부 때는 ‘건군 00주년’으로 표현하지 않고 ‘제00회 국군의 날’이라고 표현했는데 독립군과 광복군 활동을 계승하려는 의지를 그런 방법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군의 뿌리와 관련해 국방경비대 기원설이나 건군 76주년 표현 방식 모두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인 ‘국군 정통성 법제화 시민사회 추진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내어 이재명 대통령의 “국군의 뿌리는 독립군과 광복군” 발언을 환영하면서 국군조직법에 항일 독립전쟁 계승을 명시하는 법 개정을 촉구했다. 이 단체는 “대한제국군이 해산된 날 시작된 의병과 독립군, 광복군은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 위해 뜨겁게 투쟁했을 뿐 아니라, 신분 구분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민주적 규율을 유지한 자랑스러운 ‘국민의 군대’였다. 그런데도 국방부와 우리 국군이 독립전쟁 정통성을 계승하려는 노력은 매우 부족한 상태다. (윤석열 정부 때는) 심지어 육군사관학교 교정에 설치한 홍범도 장군 등 독립전쟁 지도자 흉상을 철거하려는 그릇된 행태도 드러냈다. 지난해 12월3일 불법 계엄에 일부 군인이 가담한 것도 국군이 민주공화국을 수호하는 ‘국민의 군대’임을 저버린 처사였다”고 주장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