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신보령화력발전소 부지에 들어서자 대규모 저탄장(석탄 저장고) 지붕에 빼곡한 태양광 패널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주차장 차양 구조물과 발전소 내 유휴부지 곳곳에 설치된 태양광 설비들도 한낮 뜨거운 태양을 흡수하고 있었다. 연기를 뿜는 석탄발전소 굴뚝 아래 재생에너지 설비가 가득 들어찬 발전소 풍경은 ‘에너지 전환’ 시대의 과도기 모습을 담고 있었다. 보령화력발전소와 신보령화력발전소는 그간 서울 및 수도권 등의 전력 생산 기지 역할을 수행해왔다. 단지 내 설비용량은 6400메가와트(㎿, 보령 3∼ 시중은행신용대출 8호기, 신보령 1∼2호기)로 대형원전 6개 규모에 달하고, 이를 통해 600만명이 넘는 인구가 동시에 사용할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 이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세계 석탄 감축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석탄을 때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보령·신보령발전소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2020년 말 오염물질 발생량이 많은 보령 1, 2 루나파크사춘기직장인 호기가 폐쇄된 것을 시작으로, 내년 말 보령 5호기부터 줄줄이 폐쇄를 앞두고 있다.
이영조 한국중부발전 사장이 지난 30일 보령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 제공
석탄화력발전소 지붕에 태 옴니아2남은할부금 양광 발전 패널이 올라가게 된 배경이다. 이영조 중부발전 사장은 지난 30일 보령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너지 전환 시대에 발맞춰 2035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3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2040년 석탄발전소 폐지”를 예고한 만큼, 이전까지 재생에너지 사업 토대를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는 뜻이다. 월복리상품 이 사장은 “국내 석탄발전소가 반세기 넘게 한국 경제 성장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지만 기후 대응과 탄소 감축을 위해 새롭게 변해야 할 큰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부발전은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 확대도 모색 중이다. 국내 최대 규모인 100㎿ 규모 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를 운영 중이고, 각각 300㎿ 이상인 신안우이, 보령 녹 디딤돌대출 상담 도 등 대형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현재 운영·개발·검토 중인 사업 규모만 4300㎿에 달한다. 해상풍력 사업은 많은 투자 비용이 들지만 대규모 단지화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발전공기업들이 뛰어들고 있는 영역이다.
한국중부발전이 운영하는 보령화력 5, 6, 7, 8호기 아래 태양광 패널들이 설치돼 있다. 옥기원 기자
다만 발전사들은 화력발전소가 완전히 폐쇄되기까진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새 정부가 함께 발전시키겠다는 재생에너지와 원전 둘 다 생산량 조절이 어려운 ‘경직성’ 전원이라서, 전력 공백을 메울 화력발전소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점 때문이다. 석탄발전소 폐쇄에 맞춰 발전 공기업을 통폐합하자는 정치권 목소리에 대해서도 이영조 사장은 “국민 편익, 전력산업 경쟁력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에 석탄발전소의 조기 폐쇄가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 발전사 통폐합을 통한 조직 규모 축소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부문에서 배출하는 국내 탄소 발생량 비중이 약 32%로 산업 부문(41%) 다음으로 높아 강력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임채운 중부발전 미래사업단 수소사업실 부장은 “발전사 구성원들도 탄소 감축 중요성에 공감하고, 생존전략을 짜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석탄 대신 수소를 연료로 쓰는 수소 전소 발전과 석탄에 암모니아를 혼합해 탄소량을 줄이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 공기 중 탄소를 포집해 재활용하는 기술(CCUS) 개발 등으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