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10월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이재명 정부 실용외교의 또 한 번의 시험대로, 냉정한 평가서를 받는 계기가 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자리에 모이는 다자외교의 장으로,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가장 큰 외교 이벤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기 싸움 들어간 美·中…韓, '등거리 외교' 묘수 찾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시진핑 주석과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네이버 아파트매매 서 만나기로 합의했다"라고 밝혔다. APEC에 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관심사가 중국과의 '담판'에 있음을 보여 주는 행보다. 중국은 아직 시 주석의 APEC 참석을 공식화하진 않고 있다. 정부는 다각적 소통을 통해 시 주석의 APEC 참석 의사를 기정사실화하고, 관련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미·중 정상의 동시 방 군미필대학생추가대출 한은 APEC 정상회의 의장국인 우리에겐 기회 요인과 압박 요인이 동시에 제기되는 일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속 의장국으로서 양국 정상 간 담판의 장을 한국이 마련하는 모양새는 실용외교에 도움이 된다. 만일 미·중이 이른바 '경주 합의'와 같은 결과물을 도출할 경우,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최대 성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한국이 양 축협 국 사이 등거리 외교를 펼쳐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은 벌써부터 외교전에 돌입한 모양새다. 서울과 경주에서 양국 정상이 만날 장소와 형식을 꼼꼼하게 따지며 치열한 수싸움을 진행 중이다. 두 정상이 어디서 만나 어떤 논의를 할지에 대해 정확하게 확인된 사실은 없지만, 물밑에서 다양한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 퇴직금 식대 된다. 이와 별개로 한국은 미국과는 복잡한 관세 및 안보, 비자 협상을 풀어낼 수 있고, 중국과는 관계 개선의 분기점을 삼을 수 있다는 점이 외교적 기회라고 할 수 있다.
APEC 정상회의장인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에서 내외부 마무리공사가 한창이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2025.9.24/뉴스1 ⓒ News1 최창호 기자
韓·美, 관세 '잡음' 사전 봉합이 관건…김정은 향한 트럼프 '손짓'도 주목 트럼프 대통령의 APEC 참가는 재집권 후 첫 한국 방문이기도 하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말 첫 정상회담 이후 두 달여 만에 만나게 된다. 한미는 관세 협상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후속 협상을 시원하게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APEC 전 타결을 목표로 양국 실무진이 숨 가쁘게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결과는 아직 예상하기 어렵다. 만일 관세 관련 잡음을 봉합하지 못하면, APEC 때 한미 정상이 어색한 만남을 가져야 할 수도 있다. 최근의 기류는 나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실무진이 어느 정도 접점을 찾았다면, 한 달의 기간에 차분하게 디테일을 다져 한미 정상이 담판을 짓는 모습을 APEC 때 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최우선 안건으로 한미 정상의 두 번째 회담이 준비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 논의 외에도 한미 간에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역할 변화), 국방비 증액 등 '한미동맹 현대화' 사업과 북한 문제라는 큰 사안이 남아 있다. APEC 계기 한미 정상회담이 반드시 좋은 분위기 속에서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특히 북한 문제는 정부가 '선(先) 북미 대화'를 추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APEC 때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을 가장 기대하는 외교 현안 중 하나다. 지난 2019년 6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총비서와의 '판문점 긴급 회동'을 성사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북한을 움직일 강력한 트럼프의 메시지를 끌어내기 위한 사전 작업이 진행 중일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 도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SNS. 재판매 및 DB 금지) 2025.8.2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11년 만에 방한하는 시진핑…북한 카드로 '대중 견제 벗어나라' 압박 예상 11년 만에 방한하는 시진핑 주석과 풀어야 할 현안의 무게도 만만치 않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중 양국 간 협력의 공간을 모색한다는 기본 입장을 확립한 바 있다.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면서도, 더 적극적인 대중 외교를 전개한다는 것이 실용외교의 구상이다. 문제는 한국에 대한 중국의 '의구심'이 완연히 풀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윤석열 정부 때 극심했던 '반중 정서'로 인해 멀어졌던 중국은, 새 정부 출범 후에도 서울에서 반중 시위가 이어지는 점에 대해 꾸준히 우려를 나타내는 등 한국 정부를 완전히 신뢰한다는 메시지를 주지 않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시 주석은 이 대통령이 생각하는 '새로운 한중관계'의 명확한 구상,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견제 동참' 요구에 대한 한국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을 상대하는 중국의 가장 큰 무기는 경제와 북한이다. 지난달 초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전격 참석하며 북·중이 다시 '혈맹' 관계 복원에 들어간 만큼, 시 주석도 대북 대화를 카드로 한국을 당기려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론 한반도 영향력 확대가 중국의 전략적 기조라는 점에서 중국은 한·중 간 해묵은 과제인 '한한령'(限韓令) 해제와 최근 시작된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단체 관광 등과 같은 인적·문화 교류 활성화 방안도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한국뿐만 아니라 그 어떤 국가도 미·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그럼에도 중국의 권위주의, 트럼프의 일방주의 사이에서 양측을 모두 끌어들일 수 있는 노력을 계속 경주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ntig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