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출범시키는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힘을 싣는 가운데 전남 지역 해상풍력 발전산업이 최대 98조 원에 이르는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란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30일 기후단체 녹색전환연구소와 국제 비영리 단체 오션에너지패스웨이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간담회를 열고 전남 지역 해상풍력 발전 산업의 사회, 경제, 환경적 영향을 발표했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 규모를 14.3기가와트(GW)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올 상반기 기준 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연봉 내에서 상업운전 중인 해상풍력단지는 총 5곳으로, 약 0.3GW 규모다. 5년 뒤 목표치 대비 2% 수준에 불과한 셈이다. 이번 연구는 2024년 말 기준 전남 지역에서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총 57건, 약 18GW 규모 해상풍력 생산량이 미래에 완성됐을 때 가져올 부가가치와 일자리, 기후 및 사회적 편익을 종합 분석했다. 18GW 해상풍력 4대보험 가입확인 생산량은 한국 전체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용량 중 59.2% 수준이다. 전남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파급효과를 구체적 수치로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선임연구원이 3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표하는 모습. 송주용 기자 은행담보대출금리
연구 결과 18GW 규모 전남 해상풍력 발전이 실현되면 전국에서 매년 6,000~2만2,000개 일자리가 창출되고 부가가치는 25조8,000~97조6,000억 원 유발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적 측면도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해상풍력이 발전하면 지금 sc제일은행 까지 전남 지역에 직접 투자가 적었던 전기장비나 금속가공산업 등에 대한 투자도 함께 이뤄지고 일자리 구조도 이 같은 업종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환경 효과도 강조됐다. 연구진은 전남 지역 18GW 해상풍력을 25년 간 운행할 경우 총 4억9,200톤(t) 규모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인천신용보증해드림 탄소의 사회적 비용을 감안하면 총 45조~85조 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사회적으로는 지역 재정경제에 도움을 받아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봤다. 해상풍력 발전소 가동 후 지방법인세 및 법인세, 보통교부금 증가 등을 통해 2063년까지 전남 지역에서 연간 1,151억 원의 세수 증가를 전망했다. 최 연구원원은 "고정가격입찰제도를 가정해 20년 간 18GW 해상풍력 발전 전력을 판매할 경우 360조 원 내외 수입이 기대된다"며 "지역주민에 대한 이익공유가 이뤄질 경우 추가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분석은 실제 18GW 해상풍력 발전 계획이 실현됐을 때를 가정한 것인 만큼, 넘어야할 과제도 많다. 장다울 오션에너지패스웨이 한국대표는 "정부가 해상풍력 발전을 위한 장기로드맵을 세우고 산업 육성 방안도 구체적으로 내놔야 한다"며 "군 부대 문제, 부동산 대규모 대출(PF) 등 금융지원 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주용 기자 juyong@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