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300만 인천시민에 큰 불편이 우려됐지만, 다행히 일상 생활이 무리 없이 흘러가고 있다. 모바일 신분증이 안되는 것에 대처하는 시민을 위한 각 행정기관과 병원, 서비스 센터 등에서 발 빠르게 대처하는 상황이다. 29일 오전 8시50분 찾은 인천의 한 소아청소년과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어린이집 등원 전 감기 증상이 있는 아이의 진료를 위해 서둘러 병원을 찾은 보호자와 아이뿐이었다. 신분 확인 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와 달리, 대체로 미성 부산저축은행피해자 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아청소년과에선 수기로 아이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적으며 원활히 진료를 진행했다. 다른 구에 있는 소아청소년과에서도 "아이 진료 시엔 별다른 신분증은 안 가지고 오셔도 된다"고 안내했다. 반면 주로 성인 진료가 잦은 가정의학과 등 의원급 1차 병원에선 실물 신분증이 있어야 진료를 볼 수 있었다. 여성일수방 전날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가 일부 재개됐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현장에서는 대체로 실물 신분증이 필요했다. 자택과 병원 간 거리가 있는 환자들에겐 우선 일반 환자로 진료를 보고 추후 실물 신분증을 가져오면 건강보험을 적용해 진료비 차액을 환불해주는 방법을 택했다. 한 병원 관계자는 "모바일신분증이 되는 분도 주식대출금리 있고 안 되는 분들도 있다"며 "추후 건강보험 적용을 통해 환불도 진행하고 있다. 다만, 건강보험 적용 시 진료비가 평균 4000~5000원이라면 일반 진료의 경우 1만원 정도로 꽤 금액 차이가 난다"고 전했다. 미추홀구 용현동의 한 정형외과 관계자는 "노령 환자들 많이 찾아오는데 신분증 놓고 오는 분들 많이 없다"며 "신분증 없으면 다 성업공사 시 집에 다녀오라고 하기에는 어려우니 다음에는 꼭 가져오라고 안내한다. 병원 전산망에 환자 기록 있어 큰 문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 인천시설공단 누리집에 안내된 인천가족공원 화장예약 변경 방법 공지사항 /자료출처=인천시설공단 누리집 갈무리
신한은행 적금이자 하지만 전국의 화장시설 운영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보건복지부의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이번 화재로 먹통이 되면서 화장시설 예약은 온라인 대신 팩스 등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가족공원 화장장인 승화원의 경우 이용 가능 여부, 필요한 구비서류 등을 확인 후 누리집 등에 안내된 팩스로 관련 서류를 첨부해 신청을 마쳐야 한다. 인천시설공단 관계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현재 온라인 예약 등은 불가한 상황"이라며 "인천시설공단 누리집에 관련 공지를 올렸으니 이를 참고해 시설 이용을 부탁드린다"고 설명했다.
▲ 29일 오전 9시쯤 인천 미추홀구청 종합민원실 내 무인민원발급기가 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사용이 중단됐다.
같은 시각 인천 미추홀구청 민원실. 지난 26일 국정자원 화재 후 처음 맞는 평일 오전이었으나, 구 민원 업무는 대체로 원활하게 진행됐다. 여전히 민원실 한켠에 무인민원발급기는 사용 불가였다. 무인민원발급기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장애 복구 시까지 발급 서비스가 중단됨을 알려드린다'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현재 IC주민등록증 발급 및 재발급, 수수료 면제 조회(보훈증) 업무는 처리가 불가능한 상태로, 수수료 감면 대상자 조회가 불가능해 민원 발급 수수료는 전면 감액 중이다. 주민등록 등·초본 수수료 면제 기간은 다음달 2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 인천항여객터미널은 국정자원 화재 후 신분증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신분 확인 절차를 통해 승선 방안을 찾고 있다.
인천항여객터미널은 국정자원 화재 후 신분증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신분 확인 절차를 통해 승선 방안을 찾고 있다. 배편을 이용하려면 신분증이 필요한 만큼 그에 따른 혼란도 예상됐지만, 현장에서는 상황에 맞게 대응하고 있다.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 따르면 지난 27일 오전 모바일신분증 들고 온 젊은 여행객들이 "인증이 안 되는데 어떻게 하냐"는 문의가 잇따르자, 고려고속훼리 등 선사는 신분증 사진이나 갈무리 화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이용하는 신분 확인용 문서를 확인한 후 승선시켰다. I-바다패스 관련해서는 할인이 안 되는 등 불편은 없었지만, 신분증 사진을 갖고 온 사람의 얼굴이 정말 본인이 맞는지는 확인 불가한 상황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고려고속훼리 관계자는 "신분 인증 절차에 민감해 꼭 신분증을 확인하게 돼 있지만, 국정자원 화재 이후 별도의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당분간 신분증 사진도 계속 인정해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출장으로 백령도를 자주 드나든다는 장길수(63)씨는 "모바일 신분증 들고 다녔었는데 어쩔 수 없이 신분증을 들고 다니는 것 외에는 별다른 불편한 점은 없다"고 언급했다. 여전히 인터넷 등기소 일부 서비스가 말썽이지만, 법원과 검찰 일상 업무에는 큰 지장이 없다. 국정자원 화재 후 대한민국법원 전자소송포털(내국인, 외국인 실명 확인, 주민등록정보 등본, 초본 연계 서비스 등) 인터넷등기소 일부 서비스(토지 이용계획 조회, 모바일신분증) 이용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인천지법과 인천지검은 핵심 업무에서는 이전과 같이 별다른 영향 없다고 전했다. 인천지법 공보관은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따로 공문이 내려오거나 운영이 차질이 빚고 있는 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재판 일정이 밀리는 등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인천지검 공보관은 "공식적인 의견은 아니지만 내부적으로 업무하는데 불편 사항은 없다. 전산망이 행정안전부와 분리돼 있어. 검찰도 행정부이긴 하지만 법원 경찰과 함께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으로 대부분 업무 처리하는데 아직 이상 없는 걸로 알고 있다. 나중에 기록 보존할 때 국가 기록 관리소에 들어갈 때나 행정부 전산망하고 연관이 있고 현재 업무에는 지장 없다. 내부망 '이프로스'도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우려가 컸던 우편 서비스 중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이 복구됐지만, 시민 불안감은 여전하다. 국정자원 화재 나흘째인 이날 오전 9시40분쯤 인천 부평구 부평우체국은 입구에 있는 ATM 기기는 물론, 우체국 내 금융 및 우편서비스 창구도 모두 운영 중인 모습이었다. 다만 신선식품 소포 등 일부 서비스가 제한되면서 일부 시민들은 발걸음을 돌리기도 했다. 과일이 담긴 상자를 챙겨온 60대 박모씨는 "명절이라 거제도에 계신 친정 어머니에게 과일을 보내려고 왔는데 못 보내고 간다"며 "보내지도 못하고 헛걸음하고 이게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 대부분 복구가 됐다고 해서 그런 줄 알고 왔다"며 허탈함을 드러냈다. 스티로폼 상자를 들고 우체국을 찾은 한 여성도 음식물 배송이 어렵다는 안내를 받고는 "어쩌나, 기다릴 텐데"라며 탄식을 내뱉기도 했다. 강화읍 옥림리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김석진(71)씨는 "추석을 앞두고 쌀, 고구마 등 예약된 택배를 못 보내는 건 아닌지 걱정했는데 오늘 우체국에서 정상 접수하고 있다고 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부동산 업무에 차질이 예상됐지만, 다행히 정부 24가 재개돼 큰 어려움이 없었다. 부평구 산곡동에서 부동산 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60대 김모씨는 "무엇보다 정부24 서비스가 안 돼서 문제였는데 오늘 아침에 와서 보니 해결됐다"며 "(정부24를 통해)주로 건축물이나 토지 대장을 발급받는데, 만약 평일이었다면 딜레이가 많이 됐을 거다. 대장을 발급받아야 건물이 정상인지, 불법 건축물인지를 판단하고 증명해줄 텐데 계속 가동이 안 됐다면 중개에도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왕수봉·곽안나·유희근·전민영·정혜리·안지섭 기자 jmy@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