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생아 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건 '에코붐 세대'가 결혼적령기(29~34세)에 접어든 영향이 크다. 특히 비과세복리저축보험 1~7월 누적 출생아는 14만7804명으로 전년보다 7.2% 늘어나 통계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출산율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늘었다. 7월 혼인 건수는 2만39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8.4% 증가했다. 9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며 월별로는 16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대출계산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제4차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대책 인식조사'에서 25~29세 여성의 인식이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고무적이다. 25~29세 여성은 지난해 3월(1차) 9월(2차) 올해 3월(3차) 8월(4차) 조사에서 꾸준히 결혼, 출산과 관련해 가장 낮은 호응도를 보여왔다.
무자녀 25~29세 여성(미혼·기혼 포함) 중 출산의향에 대해 '낳을 생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37.2%였다. 1차 26.4%, 2차 28.1%, 3차 34.7%로 지속 상승하고 있다. 유자녀 25~2 ef론카드 연체 9세 여성도 출산의향이 40%로 1차 조사 대비 19.8%포인트(P) 상승했다. 유자녀 30~39세 여성도 16.5%로 1차 조사 대비 4.6%P 올랐다. 급감하는 '둘째아' 출산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 출산의향의 긍정조건 1위로는 남녀 모두 '소득이 더 많다면'(중복응답)을 꼽았다. 다음으로 남성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용인빌라대출 면'(26%), 여성은 '배우자가 육아에 함께 참여한다면'(21.2%)을 주요 조건으로 생각했다. 특히 여성은 직전 조사에서 2위로 '유연근무를 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응답했지만 4차에서는 배우자 육아참여에 밀려 3위로 떨어졌다.
출산의향이 있다고 답한 만25-29세 여성 비율/그래픽=김다나
본인의 일·가정 양립이 '잘되고 있다'는 인식도 62.3%로 직전 대비 1.9%P 상승했다. 다만 연령별로 격차가 컸다. 25~29세 여성은 67.9%로 7.9%P 급등했지만 30~39세 여성은 55.1%로 응답자 중 가장 낮았고 직전보다 1.5%P 떨어졌다. 배우자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평가도 25~29세 여성은 90%가 긍정한 데 반해 30~39세 여성은 60.9%에 그쳤다. 맞벌이가구의 일·가정생활 균형을 위해 필요한 점으로는 이전 조사와 동일하게 △육아지원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 △기관 돌봄서비스 이용기회 및 시간보장 △육아시간 확보를 위한 제도확대 순으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저출생 해결을 위한 사회구조적 문제 중요도에 대한 국민인식은 △좋은 일자리 창출 확대(84.1%) △기업, 지자체 등의 주도적 참여(80.3%) △교육비 부담완화(80%) 순으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유삼현 한양대 사회학과 교수는 "출산·육아와 관련한 정책적 노력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진 중산층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일부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면서도 "합계출산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진 못해 앞으로도 반등세를 이어갈지, 보합이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