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순현 기자 = 중국 삼합회 폭력배로 분장한 무용수들이 쿵푸 결투를 벌인다. 이어서 성인 남성 키만 한 나무 막대기를 들고나와 봉술로 합을 겨룬다. 1980년대 홍콩 쿵푸 영화에서나 봤던 장면이 무대 위에서 실감 나게 펼쳐진다. 오는 26∼27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서 선보이는 홍콩발레단의 첫 내한공연 '로미오+줄리엣'의 한 장면이다. 담보채무 셰익스피어 고전 '로미오와 줄리엣'을 1960년대 홍콩 사회로 옮겨 재해석한 작품으로 쿵푸와 클래식 발레, 프로코피예프의 음악과 영화적 감성이 어우러진다. 연출과 안무를 맡은 셉팀 웨버 홍콩발레단 예술감독은 24일 취재진을 만나 "홍콩의 '황금시기'인 1960년대에 대한 향수를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다"고 작품을 소개했다. 학자금대출 저축은행이어 "홍콩은 문화적으로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접점에 자리 잡고 있다"며 "서구에 뿌리를 내린 프로코피예프의 음악과 희곡을 홍콩의 이야기로 변주하고 각색한 이 작품이 홍콩발레단의 정체성에 맞는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홍콩발레단이 한국에서 올리는 첫 무대로 '로미오와 줄리엣'을 선택한 것은 한국에서 홍콩 영화가 한창 인기를 끌 불암산 었던 1980년대 감성을 끌어내기에 가장 적합한 작품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웨버 감독은 "1980년대 홍콩 영화에 대해서 한국인들이 애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로미오와 줄리엣의 이미지는 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화양연화'와 비슷해 홍콩영화에 대한 추억이 있는 한국인들과 연결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파산면책제도
포즈 취하는 셉팀 웨버 예술감독-헤이디 리 대표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셉팀 웨버 예술감독(오른쪽)과 헤이디 리 홍콩발레단 대표가 24일 서울 서초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동 캠퍼스에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5.9.24 mjkang@yna.co.kr 우리은행바꿔드림론
그는 특히 중국으로 반환되기 전 홍콩의 다양한 즐길 거리와 놀거리들을 이번 작품을 통해 한국 관객들에게 선보이고 싶었다고 했다. 웨버 감독은 "홍콩에서 8년간 살면서 발견한 것 중 홍콩 사람들의 사교장 역할을 하는 마작장을 무척 좋아한다"며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모여 놀면서 교류하는 모습이나 길거리에서 버스킹(거리 공연)을 하는 젊은이들의 모습 등을 이 작품으로 보여주려 했다"고 설명했다. 작품의 배경을 1960년대 홍콩으로 바꿔놓았지만, 셰익스피어 원작이 추구하는 '사랑의 가치'는 이 작품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웨버 감독은 "줄리엣은 상하이 부호의 딸, 로미오는 홍콩 구룡성의 삼합회 두목으로 변경하는 등 많은 설정이 바뀌었다"며 "그런데도 이 작품의 핵심 메시지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어떤 모든 상황에서도 사랑의 가치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은 홍콩발레단은 이번 공연을 시작으로 한국에서 다양한 무대를 선보일 계획이다. 홍콩발레단의 대표작인 '호두까기 인형' 뿐만 아니라 추후 동양적 정서를 지닌 창작 발레를 들고 와 한국 관객을 만나겠다는 포부도 있다. 헤이디 리 홍콩발레단 대표는 "홍콩은 중국에 반환됐지만 여전히 전 세계와 연결되는 도시로, 홍콩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품을 한국에서 공연하고 싶다"며 "중국의 대표적인 고전을 각색한 '서유기'와 이소룡을 다룬 '브루스 리'라는 창작 작품도 조만간 완성해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