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이 28일 행복한 황금빛 미래를 꿈꾸는 이들에게 은퇴 준비부터 은퇴 이후의 삶까지 생애 전반에 걸친 든든한 노후준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그룹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KB금융그룹은 28일 행복한 황금빛 미래를 꿈꾸는 이들에게 은퇴 준비부터 은퇴 이후의 삶까지 생애 전반에 걸친 든든한 노후준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대전 소상공인 KB금융이 2017년 이후 올해 네 번째 발간하는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는 한국인의 노후준비 현황과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올해는 특별히 한국인의 노후 인식을 글로벌 사회와 비교해 진단하고, 노후 주거에 대한 견해를 다각도로 분석한 이슈 등을 포함해 총 6개 장으로 구성됐다. 먼저 kcb무료신용조회 '노후생활 준비와 인식'에서 한국인은 행복한 노후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48.6%)과 경제력(26.3%)을 꼽았고 코로나19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며 지난 2023년 조사 대비 건강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크게 제고됐다. 노후준비 필요성에는 77.8%가 공감하나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한국농협대학 19.1%에 그쳤고, 노후 행복의 핵심 요소로 꼽힌 경제력은 응답자의 5분의 1(21.1%)만이 노후 대비 충분한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해 준비 정도가 가장 미흡했다.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에서는 경제적 노후준비 기간부터 노후생활비 조달 방법까지 한국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 현황을 종합적으로 진단했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시작하는 슈퍼직장인증후군 나이로는 가장 많은(16.1%) 응답자가 50~54세를 꼽았고(평균 48세), 준비 계획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도 15.2%에 달했다. 한국인은 65세에 은퇴하기를 희망하나 실제로는 이보다 9년 일찍 은퇴하는(평균 56세) 현실에서 은퇴까지 경제적 노후준비를 위한 시간이 촉박했다. 한국 가구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월 350만 원, 미국 자동차 회사 최소생활비는 71.0%인 월 248만 원, 실제 조달가능금액은 월 230만 원으로 적정생활비의 65.7%에 그쳤다. 노후생활비 조달가능금액 중 60% 이상은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주택연금 등의 연금을 활용해 마련할 계획으로 연금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그 밖에 부동산 소득·근로소득·정부 및 가족 지원 등을 예상하기도 했다. '노후자금 준비에서 부동산의 의미'에서는 한국 가계 자산의 75%에 이르는 부동산을 활용한 노후자금 준비에 관한 인식과 행태를 분석했다. 먼저 널리 알려진 노후자금 준비 방법 중 하나인 '주택연금'의 경우 92.2%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가입할 의향이 있는 가구는 32.3%에 그쳤고, '최소생활비'보다 '적정생활비' 마련 수단으로 생각했다. '주택 다운사이징'을 통한 노후자금 준비는 응답자의 59.7%가 활용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시기는 70대를 선호했고 마련된 자금은 '입출금계좌에 넣어두고 생활비로 사용하겠다'고 답했다. 황원경 KB금융 경영연구소 부장은 "한국 사회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지만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는 의지와는 달리 여전히 미흡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 가구의 은퇴 준비와 노후 행복을 위한 종합적이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본 보고서가 은퇴를 앞두고 길어진 인생을 대비하는 이들에게는 실질적인 노후준비 지침서로, 사회적으로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이메일: jebo@tf.co.kr▶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