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탈소프트 주식 정승호 작가의 대표작 ‘SHB #0340’에는 잘게 부순 굴 껍데기와 숯, 빨래판 조각 등이 사용됐다. /갤러리 채율 제공
2021년부터 본격적인 화가의 길로 들어선 정 작가가 올해로 세 번째 전시를 열었다. 얼마 전 개인전 ‘Flashback’이 열리고 있는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의 갤러바다이야기 사이트 리 채율에서 그를 만났다. “요즘 너무 행복해요. 예전에는 다크서클이 잔뜩 내려왔는데 이제는 생기 있어 보인다는 말을 자주 들어요.” 인터뷰 내내 “행복하다”는 말을 거듭한 그의 어릴 적 꿈은 캔버스 위에 자유롭게 세상을 펼치는 화가였다. 하지만 집안 형편이 어려워졌고 결국 화가의 꿈을 포기했다. 그는 붓을 든 화가 대신야마토 릴게임 다양한 작품 속 세상을 구현하는 무대 디자이너가 됐다. 지난 30여 년간 뮤지컬 ‘레베카’ ‘엑스칼리버’ ‘베르테르’부터 연극 ‘오이디푸스’ ‘스카팽’에 이르기까지 장르를 가리지 않고 수많은 공연의 무대 디자인이 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그는 탁월한 미적 감각과 열정으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무대 디자이너로 자리매김했다. 화가로 전향하겠다는 결정은 그래서 더중국주식종목 용기가 필요했다. 공연예술계에서 쌓아 올린 독보적 지위를 스스로 내려놓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에게 후회는 없다. “무대 디자인을 할 때는 ‘나’라는 존재가 없었어요. 어떻게 하면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하고 다른 창작자들과 호흡을 맞추는 게 최우선이었기 때문이죠. 그림은 오로지 저를 생각하는 과정이에요. 매일 ‘나는 왜인터넷야마토 태어났고 어디로 향하는지’ 질문하죠. 삶이 더 의미 있게 느껴집니다.” 잔해 속에 피어난 그림들
정승호 작가의 아들이 가지고 놀던 레고와 길가에서 주운 바이올린으로 만든 ‘SHB #0245’. /갤러리 채율 제공
그의 작품은 모두 ‘버려진 것’에서 출발한다. 아들이 가지고 놀던 레고와 길가에서 운 좋게 발견한 바이올린, 서해안에서 직접 채집한 굴 껍데기 등 거의 모든 재료가 쓸모를 잃어버린 것들이다. 무대 위 소품으로 쓰던 의자도 가져온다. 그는 서울예술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데 연극을 끝마친 학생들이 버려놓은 의자를 분해해 그림을 감싸는 나무 박스로 재활용한다. 버려지는 것들에 대한 애정은 어디서 비롯된 걸까. “어렸을 땐 몰랐는데 나이가 들수록 버려지는 것들에 눈길이 가더라고요. 무대가 뜯겨 사라지는 걸 많이 봐왔으니까요. 한때는 쓸모 있던 것이 어느 순간 쓸모를 잃어버리는 게 늘 안타까웠어요. 재료 자체가 은퇴를 앞둔 제 모습과 닮았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그런 것들을 모아 박스 안에 담아내면 완전히 새로운 생명을 갖게 되죠. 그 과정에서 오히려 제가 위로받는 것 같아요.” 작업 과정은 지난하다. 직접 수거한 굴 껍데기를 씻고 말리고 망치로 두드려 크기별로 나눠 붙인 뒤 갈아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렇게 완성한 굴 껍데기 재료는 나뭇잎, 숯 등과 함께 나무 박스 안에 담긴다. “하루에 10시간씩 작업해요. 보통 화가들은 그림을 그리다 막히면 영감이 올 때까지 잠깐 쉴 수밖에 없는데 저는 굴 껍데기를 씻고 부수고 계속 할 일이 많거든요. 몸은 힘들지만 일을 끝내면 ‘내가 잘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요.” 이번 전시의 대표작은 벽면에 나란히 걸린 ‘SHB #0339’와 ‘SHB #0340’이다. 마치 해와 달이 떠 있는 일월오봉도가 펼쳐진 것처럼 경건한 기운을 풍기는 한 쌍이다. 한가운데 하얀 굴 껍데기를 붙인 SHB #0340은 성공한 경영인의 집무실에 어울릴 법한 상승 에너지가 흐른다. 반대로 새까만 솔잎을 덧댄 #0339는 어두운 심연으로 침잠하는 느낌이다. ‘음양’이라는 주제로 한 사람의 인생을 담은 우주를 표현했다고. 그의 작품엔 공통적으로 ‘미니어처 인간’이 서 있다. 사색에 잠긴 것 같기도, 지친 모습인 것 같기도 하다. “어떻게 해석할지는 보는 사람에게 달려 있어요. 예전에는 작품마다 제목을 붙였는데 어느 순간 그게 작품의 메시지를 강요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래서 지금은 제목을 다 빼고 번호로 붙이고 있죠. 제 그림을 보는 누구든 스스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해요.” 무대로 다시 돌아올 날은 언제일지 물었다. “제 마지막 직업은 화가일 것 같아요. 그렇다고 무대 디자인을 완전히 떠날 수는 없겠죠. 제게는 고향 같은 곳이니까요. 정말 좋은 작품, 하고 싶은 작품이 있다면 당연히 할 겁니다.” 전시는 오는 29일까지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