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젊은 인재 배치…역동성 강화 정유경 회장이 이끄는 백화점·패션 부문에서는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사장과 문성욱 시그나이트 사장이 대표로 승진했으며, 신세계디에프(면세점), 신세계인터내셔날, 신세계라이브쇼핑 등 3개 계열사 대표가 교체됐다. 특히 신세 사건번호대출 계 그룹 이번 인사에선 세대교체가 가장 변화로 꼽힌다. 이번에 신세계 그룹에서 선임된 신임 임원 32명 중 절반 가까운 14명이 40대로, 전체 임원 중 40대 비율은 16%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세대 교체를 주도한 건 정유경 회장이다. 코스메틱 부문은 이번 인사의 파격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980년대생 두 명이 동시에 대표 자리에 국민은행주택매매대출 올랐고, 그룹 최초 여성 CEO도 배출됐다. 서민성(1980년생) 대표와 이승민(1985년생) 대표가 각각 코스메틱 1부문과 2부문을 맡았다. 특히 이승민 대표는 그룹 최초 여성 CEO로 기록되며 상징성을 더했다. 두 사람은 모두 백화점과 신세계인터내셔날에서 뷰티 혁신 전략을 경험한 인물로, 젊고 새로운 시각을 통해 뷰티 사업의 돌파구를 기대출 모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이는 단순한 연령 교체가 아니라,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정유경 회장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무대 겨냥…이커머스·호텔·푸드 재편 정용진 회장이 이끄는 이커머스·유통 계열사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졌다. 지마켓 신임 대표로 내정된 제임스 장(장승환·19 조선대학교 국가장학금 85년생)이 대표적이다. 알리바바 출신으로 동남아 플랫폼 라자다를 이끈 그는 '셀러 글로벌 진출'과 'AI 테크 역량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지마켓이 단순한 국내 플랫폼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하는 허브로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SSG닷컴 대표에는 SCM 전문가 최택원 전 이마트 영업본부장이 선임됐다. 이마트와 SSG닷컴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신선식품 등 핵심 분야 경쟁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호텔·면세·푸드에서도 전방위 인사가 이뤄졌다. 조선호텔앤리조트에는 최훈학 전 SSG닷컴 대표가, 신세계디에프에는 이석구 전 스타벅스코리아 대표가 각각 선임됐다. 신세계푸드 임형섭 신임 대표는 'B2B 전문기업 전환'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제임스 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1970년대 생으로 세대교체보단 전문인력 기용을 통한 체질 개선에 방점을 찍었단 해석이다. 성과주의 원칙과 양강 체제…새 색깔 드러내 업계에서는 이번 인사가 계열 분리 이후 신세계 그룹이 어떤 색깔을 입게 될지를 보여주는 선언적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 성과 중심의 인사 기조가 공식화됐고, 젊은 리더를 기용해 조직 전반의 민첩성과 역동성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정유경 회장은 세대교체를, 정용진 회장은 글로벌·디지털 혁신을 앞세우며 각자의 색깔을 분명히 했다. 이번 쇄신 인사는 단순한 자리 이동을 넘어, 신세계가 양대 축을 중심으로 새로운 체질과 방향성을 규정하는 계기가 됐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신세계 그룹 관계자는 "젊은 리더들의 전진 배치는 신세계그룹이 추진해 온 성과 기반 인재 양성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성과주의를 구현한 새로운 리더십을 토대로 본업 경쟁력 극대화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